[GIT] Git Branch (저장소 생성)

MJ·2022년 8월 10일
0

GIT

목록 보기
15/33
post-thumbnail

Branch(가지)

Branch란 무엇일까요? 나뭇가지라는 뜻입니다. GIT에서 사용되는 branch라는 단어는
무엇을 뜻할까요? 여러 개발자들이 동시에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게 만들어진 독립적인 저장소를 branch라고 칭합니다.

메인 저장소에 내용을 각자 독립적인 저장소로 옮겨간 후 소스코드를 개발합니다.
이후에 변경된 내용들은 메인 저장소와 비교해서 하나의 새로운 버전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Master Branch

  • gin init할 떄 생성되는 자동으로 생성되는 기본 저장소
  • 개발자간의 협업을 위한 배포용 브런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git branch
# branch 목록 확인

git branch [브랜치명] or [원격저장소]/[브랜치명]
# 새로운 브랜치 생성
# 원격저장소의 특정 브랜치부터 새로운 브랜치 생성

git branch -r
# 원격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목록 확인

git branch -a
# 로컬/원격 저장소에 있는 브랜치 확인

git branch -D [브랜치명]
# 브랜치 삭제

git checkout [브랜치명]
# 특정 브랜치로 이동

git checout -b [브랜치명]
# 특정 브랜치 생성 후 이동 

branch가 필요한 이유?

1. 작업중인 디렉터리를 복사할 필요 없이, 현재 버전을 그대로 가져와 새로운 작업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원격 저장소(GIT HUB)등에 여러 가지 branch를 만들면 각 개발자마다 독립적인
원격 저장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추후에 통합이 필요하면 특정 브랜치에 merge를 수행



🏝️ branch 사용

1. 예제 환경 구성
1.1 manual 디렉터리 생성
1.2 하위에 work.txt 파일을 생성하고, 총 3번 커밋
1.3 커밋할 때 마다 파일에 content [숫자] 내용 추가


2. 현재 버전에 존재하는 branch를 확인 후 , 독립적인 저장소(branch)를 3개 생성


3. main(master) 브랜치에서 work.txt 파일을 수정하고 commitbranch 간의 변화를
확인

profile
프론트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한 학습 과정을 정리하는 블로그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