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들을 commit
해서 저장소에 저장하는 방법과 필요 없는 파일들을 저장하지 않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실습 환경은 CLI 바탕에 GIT BASH
로 진행 합니다
1. nano 편집기를 사용해서 파일을 생성 해줍니다.
2. 현재 저장소의 상태를 확인 합니다.
git status
명령어를 사용
3. 생성한 파일을 버전을 만들어서 저장소에 기록(저장)합니다.
git add
명령어를 통해서 인덱스 영역에 올리고
commit
명령어를 사용해서 저장소에 저장(커밋) 합니다.
1. 커밋된 파일의 내용을 수정합니다.
2. 수정된 파일을 저장소에 커밋하기 이전에 인덱스 영역에 올립니다.
3. 인덱스 영역에 있는 파일을 저장소에 커밋(저장) 합니다.
git log
명령어로 다른 버전으로 저장소에 기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기존의 파일을 수정하고, 새로운 파일을 하나 생성합니다.
2. 파일을 인덱스 영역에 넘기고 커밋합니다.
3. 커밋에 파일들이 저장될 때, 어떤 파일들이 관련 되어 있는지 확인 하기
git log --stat
옵션을 사용 합니다.
Warning : ~~ LF will be replaced by CRLF next time Git touches it
서로 다른 OS를 사용할 때 생기는 충돌 현상
윈도우 OS로 리눅스 편집기를 사용 했기 때문에 발생 합니다.
해결 방법은 충돌이 안 생기게 자동으로 CRLF <-> LF를 변환해주는 명령어를 사용 하거나,
에러 메세지 자체를 끄면 된다. ( 특별하게 문제가 생기진 않습니다 )
GIT에서 자체적으로 자동 변환해주는 기능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GIT에서 에러 메세지만 안보이게 가려주는 기능
git config --global core.safecrlf fal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