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개발을 위한 프레임 워크로 Node를 사용하여 서버를 구축하는데 사용됩니다.Node에서 사용하는 하나의 패키지로 방대한 기능이 존재한다.Express는 사용자가 전송한 내용에 대한 요청을 받아들이는 서버의 구축을 돕고,사용자가 전송한 HTTP 요청은 텍스트 정보이므
① package.json 파일 생성npm 명령어로 패키지 파일을 생성할 때, -y 플래그를 사용하면 패키지 설치에 대한질의 응답에 모두 yes로 응답합니다.② express 패키지 파일 설치 현재 디렉터리 경로에 package.json 파일이 존재하므로 express
요청과 요청에 대한 경로를 가져와서 응답을 갖는 특정한 코드에 맞추는 것을의미 합니다.express.use() 메서드는 모든 요청에 대한 응답을 1번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어떤 요청을 하던 동일한 응답만 할 수 있습니다. express.get() 메서드는 사용자가 특정
Express 에서도 쿼리스트링을 지원합니다.키와 쌍으로 이루어져 있고, 여러 개를 사용할 시 &로 구분합니다.① Express 에서 사용하는 쿼리스트링 객체 확인하기Express에서는 query 라는 객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쿼리스트링으로 서버에 정보를 요청 시qu
Express의 단점은 코드를 수정할 때 마다, 서버를 재가동 해야하는 불편한점이 있습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odemon을 사용하면 서버를 자동으로 재가동 시켜줍니다.Nodemon을 실행하면 파일에 변경사항이 있을 경우 서버를 자동으로 재시작합니다.① Node
정적인 HTML을 사용하지 않고 정보와 로직을 넣어서 동적으로 HTML을 사용하여 사용자에게보여지는 컨텐츠가 동적으로 응답할 수 있게 도와주는 방법입니다.미리 만들어놓은 템플릿을 동일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게시판에서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또한 템플레이팅 입니다. ( 동일한
① express.set() 메서드express에서 제공하는 set() 메서드를 사용하면 서버에 변수들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웹 서버의 환경을 설정할 때 사용하는 메서드로 app.set(name,value)로 구성되어 있음첫 번째 인수로는 우리가 문자열을 만들어서 전송
EJS에서 사용하는 태그들은 EJS에게 HTML 태그가 아니므로 HTML으로 취급하지 말라고지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들입니다.태그들을 사용하면 HTML 문서 내부에 JS 코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태그 사이에 코드를 넣으면 그 안의 값은 템플릿으로 출력됩니다.JS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