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표현되던 진법의 진수를 다른 진법의 진수로 변환하는 것을 뜻합니다.10진수 > 2진수 | 2진수 > 8진수 등등컴퓨터는 내부적으로 모든 수를 2진법으로 표현한다. 개발자들은 메모리에 데이터가 어떻게저장되는지 확인해야 하기에 2진법으로 표현된 수를 편하게 읽을 수
1) 2진수는 0과 1로만 표현하므로, 0은 곱셈 해봤자 0, 2진수의 자리가 1인 수만 곱셈2) 여기서 n은 진법을 뜻한다. 2진법이므로 2를 곱셈3) 자리수-1은, 2진수의 자리를 뜻한다. 첫 번째 자리라면 1-1=0, 2^0승이 된다. (1)4) 예를 들면, 2진
단순하게 10진수를 8로 나누면 8진수로 진법 변환됩니다.이 또한 정수부와 소수부가 있는 경우, 따로 연산해주면 됩니다.정수는 8로 나누고, 소수부는 8로 곱셈합니다.47.75를 8진수로 변환 해보겠습니다.✅ 정수부 47/8✅ 소수부 0.75x80.75 x 8 = 6.
고정 소수점은 컴퓨터에서 실수를 표현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산술 방식입니다.소수부의 자릿수를 미리 정해놓고, 고정된 자릿수의 소수를 표현하는 방식 입니다.실수는 정수부와 소수부로 나뉩니다.컴퓨터가 32비트 체계로 숫자를 저장한다고 가정을 두고 설명하자면, 32비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