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Request Header | Request Body |
---|---|---|
무엇인가요? | 요청의 메타정보 (부가 정보) | 요청의 실제 데이터 (컨텐츠) |
어디에 있나요? | 요청의 맨 위에 위치 (key: value 형식) | 헤더 아래에 위치한 실제 데이터 내용 |
예시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xxx | { "name": "Nara", "age": 25 } |
언제 사용되나요? | 서버에 요청 유형, 인증, 포맷을 알릴 때 | 폼 데이터, JSON, 파일 업로드 등 실제 정보 전달 시 |
어떤 요청에 포함? | GET , POST , PUT , DELETE 모두 사용됨 | 주로 POST , PUT , PATCH 등에서 사용됨 |
POST /signup HTTP/1.1
Host: example.com
Content-Type: application/json
Authorization: Bearer abc123
{
"username": "nara",
"password": "1234"
}
Request Header
: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보내는 데이터는 JSON이에요"Authorization: Bearer abc123
→ "내 인증 토큰은 이거예요"Request Body
:
{ "username": "nara", "password": "1234" }
→ 실제 회원가입 정보본 후기는 [한글과컴퓨터x한국생산성본부x스나이퍼팩토리] 한컴 AI 아카데미 (B-log) 리뷰로 작성 되었습니다.
#한컴AI아카데미 #AI개발자 #AI개발자교육 #한글과컴퓨터 #한국생산성본부 #스나이퍼팩토리 #부트캠프 #AI전문가양성 #개발자교육 #개발자취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