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번에 많은 양의 스크롤이 필요한 리스트 아이템을 보여주고할 때 쓰인다.Scroll View의 경우 유저에게 보이지 않는 데이터도 모두 보여주기 때문에 고정적인 데이터 혹은 데이터의 양이 많지 않을 때 주로 사용한다그에 비해 FlatList의 경우 유저가 보고 있는 화
위 글은 expo로 생성한 프로젝트 기준임을 명시(최근 리액트 네이티브에서 권장)서버와 통신에 대한 코드를 모든 화면에 넣으면 굉장히 코드도 복잡해지고 가독성도 안좋고 유지보수 하기도 힘들어지기 때문에 api.ts라는 폴더를 만들어서 관리한다.위와 같이 각 기능별로 C
useEffect에서 내부에서 함수를 호출해줬을까 이러면 무한루프가 돌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 (기초적인 부분이지만 확실하게 알고 넘어가야 유지보수가 편해질 것 같아서 작성)useEffect 내부에서 async 함수를 직접 사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useEffect는
안드로이드ios 빌드ios 빌드는 Apple 개발자 계정 필요함!빌드가 완료되면 aab 확장자 파일 제공로컬에서 바로 테스트 하고 싶다면 Expo Dev Client 설치앱에서 배포1\. 구글플레이에 배포앱스토어 배포EAS Update를 사용하면 앱을 다시 빌드하지 않
현재 내 프로젝트는 로그인 로그아웃 회원가입을 createAsyncThunk를 사용한 비동기로 처리해주고 있다. 어떤게 좋은지 갑자기 궁금했다.간단히 말하면 서버와의 통신이 필요한 작업이기 때문이다.즉 API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을 때 까지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U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