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의 리소스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만 지불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출처: 스마트과학관 - 국립중앙과학관>
'IaaS(서비스형 인프라)'는 네트워킹, 컴퓨팅 및 스토리지에 대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IaaS는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물리적 서버 운영 없이 서버를 서비스 업체로부터 빌리는 개념으로 스토리지, 네트워크, 전력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자원들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가 책임지고 관리를 한다.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실행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컴퓨터에 애플리케이션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인터넷 연결 상태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SaaS를 사용하면 서비스를 유지 및 관리하거나 기본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식은 신경쓸 필요가 없고 그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집중할 수 있다.
'PaaaS(서비스형 플랫폼)'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플랫폼과 플랫폼에 사용되는 IT 인프라를 제공한다. 가상화된 인프라 위에 런타임 환경, OS(운영체제), 미들웨어를 추가한 유형이다. IaaS 형태의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개발 환경(플랫폼)을 미리 구축하여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어하는 자원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과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비용을 받고 서비스로 클래우드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의 운영을 직접 책임지지 않아도 되지만 특정 사업자에게 종속될 위험이 있다.
특정 사용자(기업이나 조직)가 원하는 자원을 독점 사용하고 관리,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
아마존, 구글 등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달리 개별 기업이나 조직 등이 자신들만을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형태를 말한다.
데이터의 외부 저장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기업이 독자적으로 구축 및 운영하여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한다. 이 경우, 정보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클라우드 구축 시 외부 인프라를 이용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자체 인프라를 활용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기업 내에 서버 설치 및 운영하는 '온 프레미스'가 조합된 서버 이용 환경
기업 내 모든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회사 밖의 퍼블릭 클라우드로 옮기지 않고 수요와 필요한 기능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출처: https://elice.io/ko/newsroom/kind_of_clou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