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클라우드)란 무엇일까? - 기본 지식 및 개념

구유정·2024년 7월 3일
0

Cloud

목록 보기
1/9

클라우드란?

☁️'클라우드'란 데이터를 인터넷과 연결된 중앙컴퓨터에 저장해서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원하는 시점에, 원하는 만큼의 리소스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만 지불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출처: 스마트과학관 - 국립중앙과학관>

클라우드의 특징

  • 유연성: 클라우드 환경이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쉽게 조정될 수 있는 능력
  • 민첩성: 클라우드 환경이 변화하는 요구사항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능력
  • 신속성: 클라우드 환경이 IT 자원 및 서비스의 제공 시간을 단축시키는 능력
  • 확장성: 클라우드 환경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자원을 동적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능력



클라우드의 종류

IaaS

'IaaS(서비스형 인프라)'는 네트워킹, 컴퓨팅 및 스토리지에 대한 인프라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IaaS는 가상화 기술을 기반으로 자체적인 물리적 서버 운영 없이 서버를 서비스 업체로부터 빌리는 개념으로 스토리지, 네트워크, 전력 등 서버 운영에 필요한 자원들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CSP)가 책임지고 관리를 한다.

IaaS의 특징

  • 자원 가상화: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가상화하여 여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 사용 기반 과금: 사용한 만큼의 비용을 지불한다.
  • 확장성: 필요에 따라 자원을 쉽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다.
  • 관리 및 유지보수: 물리적인 하드웨어 관리가 필요 없고, 클라우드 제공자가 관리한다.
  • 자유로운 운영 체제 및 애플리케이션 선택: 사용자가 원하는 운영 체제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고 구성이 가능하다.

IaaS 예시

SaaS

'SaaS(서비스형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과 이를 실행하는 플랫폼을 제공한다. 컴퓨터에 애플리케이션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인터넷 연결 상태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SaaS를 사용하면 서비스를 유지 및 관리하거나 기본 인프라를 관리하는 방식은 신경쓸 필요가 없고 그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집중할 수 있다.

SaaS의 특징

  • 접근성: 인터넷 연결만 있으면 언제 어디서나 접근 가능하다.
  • 관리 및 유지보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보안 패치 등을 클라우드 제공자가 관리한다.
  • 구독 기반 과금: 월간 또는 연간 구독료를 지불하여 서비스를 이용한다.
  • 즉시 사용 가능: 소프트웨어 설치나 설정 없이 즉시 사용 가능하다.
  • 다양한 디바이스 지원: PC, 스마트폰, 태블릿 등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접근이 가능하다.

SaaS 예시

  • Google WorkSpace
  • Microsoft Office 365
  • Notion

PaaS

'PaaaS(서비스형 플랫폼)'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플랫폼과 플랫폼에 사용되는 IT 인프라를 제공한다. 가상화된 인프라 위에 런타임 환경, OS(운영체제), 미들웨어를 추가한 유형이다. IaaS 형태의 클라우드 인프라 위에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개발하도록 개발 환경(플랫폼)을 미리 구축하여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PaaS의 특징

  • 개발 환경 제공: 개발, 테스트, 배포, 관리에 필요한 도구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 자동 확장: 애플리케이션의 수요에 따라 자동으로 자원을 확장하거나 축소한다.
  • 관리 및 유지보수: 운영체제, 서버, 스토리지 등의 관리가 필요 없다.
  • 통합 도구 지원: 버전 관리, 빌드 도구, 데이터베이스 관리 도구 등 다양한 개발 도구를 제공한다.
  • 협업 지원: 팀 내 여러 개발자가 쉽게 협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PaaS 예시

클라우드 분류

Public Cloud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어하는 자원을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

아마존,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네이버 등과 같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사용자에게 비용을 받고 서비스로 클래우드를 제공하는 형태를 말한다.

Public Cloud 특징

누구나 사용할 수 있고 클라우드의 운영을 직접 책임지지 않아도 되지만 특정 사업자에게 종속될 위험이 있다.

Private Cloud

특정 사용자(기업이나 조직)가 원하는 자원을 독점 사용하고 관리, 제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클라우드 배포 모델

아마존, 구글 등의 퍼블릭 클라우드와 달리 개별 기업이나 조직 등이 자신들만을 위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축하고 운영하는 형태를 말한다.

Private Cloud 특징

데이터의 외부 저장에 대한 불안감 등으로 기업이 독자적으로 구축 및 운영하여 기업 내부에서만 사용한다. 이 경우, 정보의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Hybrid Cloud

클라우드 구축 시 외부 인프라를 이용하는 '퍼블릭 클라우드'와 자체 인프라를 활용하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또는 기업 내에 서버 설치 및 운영하는 '온 프레미스'가 조합된 서버 이용 환경

Hybrid Cloud 특징

기업 내 모든 정보기술(IT) 인프라를 회사 밖의 퍼블릭 클라우드로 옮기지 않고 수요와 필요한 기능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출처: https://elice.io/ko/newsroom/kind_of_cloud

profile
고수를 향해 나아가는 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