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11.03(화)

Dew·2020년 11월 3일
0

TIL

목록 보기
4/4

공부한것

서블릿 요청받기, 응답처리

  1. 서블릿을통한 요청받기-응답처리
  2. form 태그를 이용해 서블릿에 요청받기
  3. 자바스크립트로 서블릿 요청받기

정리

  • 서블릿을 통해 GET-POST 방식으로 데이터 요청받기,응답처리를 한다.
  • form 태그의 속성값을 이용해 연결될 서블릿(action), 데이터응답방식(method) 등을 정할수있다.
  • GET-POST 전송방식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서블릿 기본기능]

  1.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받기
  2. 처리된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응답 (HTML 내용전달)
  3. 데이터베이스 연동과 같은 비즈니스로직 처리

[서블릿 요청-응답]

  • GET - POST 전송방식이 있다.
  • 요청 : HttpServletRequest 클래스타입 사용
  • 응답 : HttpServletResponse 클래스타입 사용

[form태그 이용해 서블릿 요청받기]

<form method="get" action="login01" encType="UTF-8">
  • method 속성 : form안에 담긴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get, post)
  • action 속성 : 실행될 서블릿의 mapping값
  • encType 속성 : 전송 할 데이터의 인코딩 타입지정
 <input type="text" name="userId">
  • name 속성 : 요청받을 값의 이름 (서블릿에서 요청받을 파라미터 값의 key와같은 역할)

[서블릿 요청 메소드] : HttpServletRequest클래스의 메소드

<form태그로 전송된 데이터를 받아오는 메소드>

  • String getParameter(String name) : 값의 이름 알고, 값이 하나일때 (input...)
  • String[ ] getParameterValues(String name) : 값의 이름알고, 값이 여러개일때 (checkbox ...)
  • Enumeration<> getParameterNames() : 값의 이름모를때, 이름을 받아옴

ex ) String userId = request.getParameter("userId")


[서블릿 응답처리]

  • setContentType() 이용하여 전송할 데이터 종류(MIME-TYPE) 지정
    *MIME-TYPE : 톰캣 컨테이너에서 미리 지정해놓은 데이터 종류
    (text/html, text/plain, application/xml, application/json .... 등)
    ex ) response.set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클라이언트와 서블릿의 통신은 java I/O스트림을 이용한다.
    ex ) PrintWriter out = response.getWriter();

profile
삽질을 두려워하지말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