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포스팅에서는 스프링 부트와 오라클 클라우드를 연동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경험을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기존에 Tistory로 블로그를 옮겼는데, 아무래도 Velog가 더 편하고 기술블로그가 두개인것도 별로인것 같아 다시 Velog로 옮겨와 작성하려고 합니다.아직

이전 포스팅에서는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할당 받고, SSH를 통해 서버에 접속까지 완료하였습니다.지금 바로 빌드해서 오라클 서버에 보낼수도 있지만, 프로젝트의 정상 작동은 어렵습니다.바로 DB에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로컬 환경에서는 편리하게 H2를 사용

이전 포스팅에서까지,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를 할당받고, DB까지 연결 해보았습니다.이 글은 제가 작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공부하며 정리한 글이기때문에, 코드의 질도 낮고 부정확한 부분이 많을거라고 생각합니다. 감안하고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시작하기에 앞서, 뭔가

이전 포스팅에서는, 버킷을 생성하고 의존성을 주입받는 등 연결에 필요한 설정들을 해보았습니다.저번 포스팅을 짧게 끊은 이유는.. 왠지 이번 글이 길어질거 같아 나누었습니다. 바로 이미지 업로드 기능을 구현해보도록 하겠습니다.저는 Gradle 스프링 부트 3.2.3버전을

시간 없으신 분들은 그냥 지나가셔도 되는 부분입니다. 가볍게 보시고, 혹시 이유를 아시는 분 계시면 댓글 부탁드립니다!처음에는 의존성에 jersey를 제외하고 httpClient만 주입해주었습니다. 그랬더니 java.util.NoSuchElementException:

저는 Gradle 스프링 부트 3.2.3버전을 사용중이며, JDK 17 자바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저번 포스팅까지 오라클 클라우드 인스턴스 생성 -> DB 연동 -> 버킷으로 이미지 업로드 까지 모두 마쳤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지막으로 스프링 프로젝트를 빌드하고,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