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으려면 아래에서 두 번째 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술이 필요함
데이터 링크 계층 : 네트워크 장비 간에 신호를 주고받는 규칙을 정하는 계층 → 가장 많이 사용되는 규칙 이더넷
CSMA
:: 여러 컴퓨터가 동시에 데이터를 전송해도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
:: 스위치
라는 네트워크 장비를 사용하면 충돌이 일어나지 않아, 최근에는 스위치
를 사용한다고 함.
랜 카드에 이미 MAC 주소가 정해져 있음 : 중복이 되지 않도록, 48비트 숫자로 이루어짐 : 랜 카드를 만든 제조사 번호 + 제조사가 붙인 일련번호로 구성
MAC 주소를 사용한 통신
이더넷 헤더 구조
트레일러
:: 이더넷 헤더 + 데이터 + 트레일러 = 프레임
=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이 전송됨
→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데이터에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하여 프레임(캡슐화)을 만들고 물리 계층에서 이 프레임 비트열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
→ 받는 쪽 : 물리 계층에서 전기 신호로 전송된 데이터를 비트열로 변환하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이더넷 헤더와 트레일러를 분리
→ 만약에 3번 컴퓨터로 보내는 거였다면, 나머지 컴퓨터에서는 데이터를 파기! 왜냐하면 이더넷 헤더에 데이터를 받는 쪽 컴퓨터의 MAC 주소가 포함이 되어 있기 때문!
→ 동시에 데이터가 발송이 되더라도 CSMA/CD 규칙이 있어 충돌하지 않음
스위치
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고 레이어 2 스위치 또는 스위칭 허브라고도 불림 : 장비의 외형은 허브와 비슷
MAC 주소 테이블 : 스위치 내부에 존재하는, 스위치의 포트 번호와 해당 포트에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는 DATABASE
MAC 주소 학습 기능 : 스위치의 전원을 처음 켠 상태에서는 아무 것도 등록이 되어 있지 않음. 하지만 컴퓨터에서 목적지 MAC 주소 테이블을 확인하고 출발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MAC 주소를 포트와 함께 등록함. 더미허브에는 없는 기능
플러딩 : 위의 과정에서, 아직 목적지 MAC 주소가 등록되어 있지 않아 보낸 컴퓨터 말고 다른 컴퓨터 모두에 데이터가 전송이 되는 현상을 플러딩
이라고 한다. 만약에 등록이 되어 있다면, 해당 MAC 주소를 확인하고 그 컴퓨터에만 전송이 된다.
MAC 주소 필터링 : MAC 주소를 기준으로 목적지를 선택하는 것, 이것으로 불필요한 데이터를 네트워크에 전송하지 않게 되는 것
전이중 통신 :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
반이중 통신 :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는 구조
직접 랜 케이블로 컴퓨터를 연결한다면 여덟 개, 즉 선을 네 쌍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전이중 통신 방식(크로스 케이블)
스위치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음
허브 반이중 통신방식
스위치 전이중 통신방식
충돌 도메인 : 충돌이 발생할 때 그 영향이 미치는 범위를 말함
허브 : 접속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가 충돌 도메인
스위치 : 접속되어 있는 모든 컴퓨터에 영향이 미치지 않음
이더넷 규격 다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