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arr = [1, 2, 3, 4] // arr arr[1] // arr[1]에는 '2'라는 값이 저장되어 있다.
1. push()
let arr = [1, 2, 3, 4] arr.push(5); // arr = [1, 2, 3, 4, 5]
2. pop()
let arr = [1, 2, 3, 4] arr.pop(); // arr = [1, 2, 3]
3. shift()
let arr = [1, 2, 3, 4] arr.shift(); // arr = [2, 3, 4]
4. unshift()
let arr = [1, 2, 3, 4] arr.unshift(5); // arr = [5, 1, 2, 3, 4]
5. splice()
(1)삭제
let arr = [1, 2, 3, 4] arr.splice(2, 1); // arr = [1, 2, 4] // arr배열의 인덱스 2부터 1개의 요소를 삭제한다.
(2)추가
let arr = [1, 2, 3, 4] arr.splice(2, 0, 7, 8); // arr = [1, 2, 7, 8, 3, 4] // arr배열의 인덱스 2부터 0개의 요소를 삭제하고 7과 8을 추가한다.
6. slice()
let arr = [1, 2, 3, 4] arr.slice(1, 3); // arr = [2, 3] // arr배열의 인덱스 값 1부터 3전까지의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반환한다.
7. concat()
let arr = [1, 2, 3, 4] let arr2 = [7, 8, 9] arr1.concat(arr2); // [1, 2, 3, 4, 7, 8, 9] // arr1배열에 arr2배열을 합친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 반환한다.
8. join()
let arr = [1, 2, 3, 4] arr.join() // '1,2,3,4' arr.join('') // '1234' arr.join('+') // '1+2+3+4'
9. Array.isArray()
let arr = [1, 2, 3, 4] let a = 1 Array.isArray(arr) // true Array.isArray(a) // false
10. indexOf()
let arr = [1, 2, 3, 4, 5, 6, 7] // 값을 한개만 지정할 경우 해당 값의 인덱스를 반환한다. arr.indexOf(3) // 2 arr.indexOf(9) // -1 // 값을 두개 지정할 경우 각각 찾을 요소와 검색을 시작할 인덱스를 나타낸다. arr.indexOf(5, 3) // 4 arr.indexOf(5, 6) // -1 // 👆 인덱스 6부터 검색을 하는데 찾는 요소인 5는 인덱스 값이 4이므로 발견되지 않아 -1이 반환된다.
11. includes():
let arr = [1, 2, 3, 4, 5, 6, 7] arr.indexOf(3) // true arr.indexOf(9) // false // 값을 두개 지정할 경우 각각 찾을 요소와 검색을 시작할 인덱스를 나타낸다. arr.indexOf(5, 3) // true arr.indexOf(5, 6) // false // 👆 인덱스 6부터 검색을 하는데 찾는 요소인 5는 인덱스 값이 4이므로 발견되지 않아 false를 반환한다.
12. reverse()
let arr = [1, 2, 3, 4, 5, 6, 7] arr.reverse() // arr = [7, 6, 5, 4, 3, 2, 1]
13. sort()
let arr = [5, 4, 1, 6, 3, 7, 2] arr.sort() // arr = [1, 2, 3, 4, 5,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