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친해지기 어려워 (┬┬﹏┬┬)

계단 오르기

문제

계단 오르기 게임은 계단 아래 시작점부터 계단 꼭대기에 위치한 도착점까지 가는 게임이다. <그림 1>과 같이 각각의 계단에는 일정한 점수가 쓰여 있는데 계단을 밟으면 그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 <그림 2>와 같이 시작점에서부터 첫 번째,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계단을 밟아 도착점에 도달하면 총 점수는 10 + 20 + 25 + 20 = 75점이 된다.

계단 오르는 데는 다음과 같은 규칙이 있다.

  • 계단은 한 번에 한 계단씩 또는 두 계단씩 오를 수 있다. 즉, 한 계단을 밟으면서 이어서 다음 계단이나, 다음 다음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
  • 연속된 세 개의 계단을 모두 밟아서는 안 된다. 단, 시작점은 계단에 포함되지 않는다.
  • 마지막 도착 계단은 반드시 밟아야 한다.
  • 따라서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두 번째 계단이나, 세 번째 계단으로 오를 수 있다.
  • 하지만, 첫 번째 계단을 밟고 이어 네 번째 계단으로 올라가거나, 첫 번째, 두 번째, 세 번째 계단을 연속해서 모두 밟을 수는 없다.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질 때 이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의 첫째 줄에 계단의 개수가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한 줄에 하나씩 제일 아래에 놓인 계단부터 순서대로 각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가 주어진다. 계단의 개수는 300이하의 자연수이고, 계단에 쓰여 있는 점수는 10,000이하의 자연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계단 오르기 게임에서 얻을 수 있는 총 점수의 최댓값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6
10
20
15
25
10
20

예제 출력 1

75

출처

Olympiad > 한국정보올림피아드 > 한국정보올림피아드시․도지역본선 > 지역본선 2006 > 초등부 4번

  • 문제의 오타를 찾은 사람: cjswodmlskfk eric00513

알고리즘 분류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해결한 코드

// 입력받기
var fs = require('fs');
var input = fs.readFileSync('/dev/stdin').toString().split('\n');    
// input으로 들어온 입력값을 정수형으로 바꿔주기 
var n = parseInt(input[0])
for(var j=0; j<input.length; j++){
    input[j] = parseInt(input[j])
}
// 본 코드
var dp = new Array(n).fill(0)
var stairs = []
stairs = input.slice(1, input.length)
dp[0] = stairs[0]
dp[1] = Math.max(stairs[0]+stairs[1], stairs[1])
dp[2] = Math.max(stairs[0]+stairs[2], stairs[1]+stairs[2])
for(var i=3; i<n; i++){
    dp[i] = Math.max(dp[i-2]+stairs[i], dp[i-3]+stairs[i-1]+stairs[i])
}
console.log(dp[n-1])

알고리즘

어떻게 계단에 오르면 최댓값인지 계산하고 이를 dp 배열에 넣기.
※ 개인적으로 한번에 이해되지 않았다. 차근차근 짚어보도록 한다.

  1. ex. stairs = [10, 20, 15, 25, 10, 20]
    맨 첫번째 계단[10]에 도달하는 최댓값은 계산할 것 없이 10.
    dp = [10]

  2. 두번째 계단[20]에 도달하는 최댓값은
    ⓐ 10 + 20 (첫번째, 두번째 차곡차곡)
    ⓑ 20 (한번에 두번째 계단으로)
    이 중 큰 값 ⓐ이다.
    dp[10, 30]

  3. 세번째 계단[15]에 도달하는 최댓값은
    ⓐ 10 + 15 (첫번째 밟고 바로 세번째로)
    ⓑ 20 + 15 (한번에 두번째 밟고 세번째로)
    이 중 큰 값 ⓑ이다.
    dp=[10, 30, 35]

  4. 네번째 계단[25]에 도달하는 최댓값은
    ⓐ 10 + 15 + 25 (첫번째 밟고 세번째 밟고 네번째로)
    ⓑ 10 + 20 + 25 (첫번째 밟고 두번째 밟고 네번째로)
    ⓒ 20 + 15 + 25 (두번째 밟고 세번째 밟고 네번째로) ← 이 경우는 연달아 세 계단을 밟으므로 안된다.
    고로 ⓐ, ⓑ 중 큰 값 ⓑ 이다.
    dp=[10, 30, 35, 55]
    그런데 '10 + 15 + 20' 와 '10 + 20 + 25' 는 어디서 많이 본 것 같다..?
    10은 1-1에서 구하여 dp[0]에 해당하는 값이고, 10+20 은 1-2에서 구하여 dp[1]에 넣은 최댓값이다.
    잘 생각해보면, 4번째 계단에 오를 수 있는 최댓값을 계산할 때
    ① 직전 계단을 밟는 경우
    ② 직전 계단을 밟지 않는 경우 ← 전전계단을 밟는 경우
    이렇게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
    그러면, ①은 직전계단의 전전계단, 다시 말하면 전전전계단의 최댓값 + 직전계단 + 4번째 계단에 오를 때의 값이고, ②는 전전계단의 최댓값 + 4번째 계단에 오를 때의 값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둘 중 더 큰 값이 4번째 계단에 오를 수 있는 최댓값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 = dp[0] + stairs[2] + stairs[3], ⓑ = dp[1] + stairs[3] 로 표기할 수 있다.

  5. 다섯번째 계단[10]에 도달하는 최댓값은
    ⓐ 10 + 20 + 25 + 10
    ⓑ 20 + 15 + 10
    이 되므로, '10 + 20 + 25 + 10' 와 '20 + 15 + 10' 중 큰 값을 고른다.
    dp=[10, 30, 35, 55, 65]
    그런데 10 + 20 은 1-2에서 구한 dp[2]에 해당한다.
    즉, 이 식은 dp[2] + stairs[3] + stairs[4]로 표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0 + 15 + 10은 dp[3] + stairs[4]로 표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당 계단에 도달할 수 있는 최댓값은
ⓐ 현재 계단 + 바로 전 계단 + 전전전계단의 최댓값 = stairs[i] + stairs[i-1] + dp[i-3]
ⓑ 현재 계단 + 전전계단의 최댓값 = stairs[i] + dp[i-2]
둘 중 더 큰 값이 되는 것이다.

6. 이렇게 dp배열에 해당 계단을 오를 수 있는 최댓값의 합으로 계산되어 들어간다.
7. dp배열의 가장 마지막 원소를 출력한다.

어려웠다... ㅠ
동적 프로그래밍 쉽지 않다. 하지만 규칙 찾는 것도 나름 재미중의 하나라고 생각한다(어쩌면 노력 ㅋㅋㅋ).
이제 포도주 시식도 풀어봐야지. 동적 프로그래밍이랑 친해지고 싶다 .. 백준쓰랑도 ..

profile
개발 공부하는 심리학도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0년 7월 12일

많은 도움 받았씁니다 감사합니다.

1개의 답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