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지 못한 곳에서 문제가 풀리지 않아 오랫동안 고민했다.
튜플
문제 설명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2}, {2, 1}, {2, 1, 3}, {2, 1, 3, 4}} {{2, 1, 3, 4}, {2}, {2, 1, 3}, {2, 1}}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제한사항
-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입출력 예
s result "{{2},{2,1},{2,1,3},{2,1,3,4}}" [2, 1, 3, 4] "{{1,2,3},{2,1},{1,2,4,3},{2}}" [2, 1, 3, 4] "{{20,111},{111}}" [111, 20] "{{123}}" [123] "{{4,2,3},{3},{2,3,4,1},{2,3}}" [3, 2, 4, 1]
입출력 예에 대한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3
(111, 20)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11}, {111,20}}
이 되며, 이는{{20,111},{111}}
과 같습니다.입출력 예 #4
(123)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123}}
입니다.입출력 예 #5
(3, 2, 4, 1)을 집합 기호를 이용해 표현하면
{{3},{3,2},{3,2,4},{3,2,4,1}}
이 되며, 이는{{4,2,3},{3},{2,3,4,1},{2,3}}
과 같습니다.
사실 문제 설명만 보곤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
어떻게 저 s를 보고 튜플을 추론할 수 있을까?
맨 마지막 예시로 예를 들어보자.
{{4,2,3},{3},{2,3,4,1},{2,3}}
의 길이가 짧은 것부터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3},{2,3},{4,2,3},{2,3,4,1}}
이 된다.
자, 각 원소에 새롭게 들어온 숫자를 확인하자.
{3}
다음에 온 {2,3}
에서 새로 들어온 수는 2
이다.
{2,3}
다음에 온 {4,2,3}
에서 새로 들어온 수는 4
이다.
{4,2,3}
다음에 온 {2,3,4,1}
에서 새로 들어온 수는 1
이다.
따라서 첫 숫자부터 새로 들어온 수를 나열하면, [3,2,4,1]
로 원하는 튜플을 구할 수 있다.
이렇게 문제를 이해하고 나서야 풀이를 생각할 수 있었다.
function solution(s){
var answer = []
s = s.replace(/{/g, '').split('}').sort((a,b) => a.length - b.length).filter((e) => e !== '')
s = s.map((e) => {
if(e[0] == ','){
e = e.replace(',', '')
}
return e.split('')
})
if(s.length>1){
answer.push(s[0].join('')/1)
for(var i=0; i<s.length; i++){
answer.push(difference(s[i], s[i-1]))
}
return answer
}
if(s.length == 1){
s[0] = s[0].join('')/1
return s
}
}
function difference(arr1, arr2){
let difference = arr1.filter((e) => !arr2.includes(e))
return difference.join('')/1
}
우선 기본 세팅을 해줘야 한다고 생각했다.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본 세팅을 했다.
- s 안에 있는 { 를 모두 지운다.
1-1. ex.s = '{{4,2,3},{3},{2,3,4,1},{2,3,4,1,43},{2,3}}'
라면
1-2.s = '4,2,3},3},2,3,4,1,43},2,3}}'
- s 안에 있는 }를 기준으로 split 한다.
2-1.s = ['4,2,3', ',3', ',2,3,4,5,43', ',2,3', '', '']
- s 원소의 길이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3-1.s = ['', '', ',3', ',2,3', '4,2,3', ',2,3,4,1', ',2,3,4,1,43' ]
- s 원소의 빈 문자열은 filter한다.
4-1.s = [',3', ',2,3', '4,2,3', ',2,3,4,1', ',2,3,4,1,43']
- 맨 앞에
,
가 있는 원소들을 replace( ',' , '' )로 정리해준다.
5-1.s = ['3', '2,3', '4,2,3', '2,3,4,1', '2,3,4,1,43']
- 각 원소를 split('')하여 배열로 만들어준다.
6-1.s = [ ['3'], ['2','3'], ['4','2','3'], ['2','3','4','1'], ['2','3','4','1','43'] ]
이렇게 기본 세팅이 완료 되면, 차집합을 이용해서 알맞은 튜플 숫자를 구한다.
- 차집합을 구할 함수를 구현한다.
1-1. 두개의 배열(arr1, arr2)을 받아 arr2에 없는 arr1의 원소를 반환한다.
1-2. 튜플은 숫자가 들어가야 하므로 반드시 숫자로 반환한다.
solution함수에서는 짜잘한(?) 처리를 해주었다.
- 만약 s.length == 1, 즉 원소가 하나밖에 없으면, 그냥 걔를 return하면 된다. 숫자로 바꿔준 후 return한다.
- s.length > 1면, s를 돌면서 원소끼리 차집합을 구한다.
2-1. 차집합 원소들을 answer에 차곡차곡 push 한다.- answer를 반환한다.
['2','3','4','1','43']
)처럼 43과 같은 두자리 수가 들어갔을 때를 생각하지 못했다.비교적 간단한 문제였을지 모르지만, 여전히 시간이 많이 든다. 최근 등록한 코딩테스트에 대한 부담감 때문인지, 무의식적으로 내 페이스를 잃으려고 한다. 조바심도 많이 나고, 아직 부족한게 당연한데도 의미없는 자책으로 시간을 버리곤 한다. 마인트 컨트롤이 잘 안된다. 최선을 다할 코테지만, 첫술에 배부르려고 등록한 코테는 아니니까 부디 최선을 다하되 결과에 오랫동안 연연하지는 말기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