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의 상속은 다른 클래스에서 derived
(유래, 파생)될 수 있습니다. 이것을 상속을 한다고 하며, 해당 클래스의 필드와 메서드를 inheriting
(상속)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다른 클래스에서 derived
된 클래스를 보통 서브클래스(확장된 클래스, 자식 클래스, derived 클래스)라고 부릅니다. 그리고 그 대상이 된 클래스를 슈퍼클래스(base 클래스 또는 부모 클래스)라고 부릅니다.
Object
클래스를 제외한 모든 클래스는 하나의 슈퍼클래스를 가집니다. 이를 단일 상속이라고 표현합니다. 즉, 자바는 단일 상속만을 지원합니다.
명시적으로 슈퍼클래스를 지정해주지 않는다면, 모든 클래스의 암시적인 슈퍼클래스는 Object
클래스가 됩니다.
클래스들은 궁극적으로 최상위 클래스 Object
에서 파생된 클래스에서 계속해서 파생될 수 있습니다.(상속의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습니다.) 따라서 모든 클래스는 Object
의 자손이라고 볼 수 있게됩니다.
상속의 개념자체는 간단하지만, 강력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새 클래스를 만들고 싶지만 원하는 코드가 포함된 클래스가 이미 있는 경우 이 클래스를 확장해서 사용하기를 원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한다면, 이 코드들을 직접 작성하거나, 디버깅 하지 않더라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객체지향에서 중요하게 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코드의 재사용성이죠.)
서브클래스는 슈퍼클래스의 모든 멤버(필드, 메서드, 중첩 클래스)를 상속합니다. 생성자는 멤버가 아니므로, 상속되지 않습니다. 그러나 슈퍼클래스의 생성자는 서브클래스에서 실행될 수 있습니다. super()
가 그 예입니다.
Object
클래스를 제외한 클래스는 모두 부모 클래스가 있어야 하며, 명시적으로 지정해주지 않은 경우 Object
클래스를 상속하게 됩니다.super
키워드는 서브클래스에서 슈퍼클래스를 가리키기 위해 사용하는 키워드입니다.
super
키워드는 슈퍼클래스의 멤버에 접근하기 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메서드 오버라이딩을 할 때, 슈퍼클래스의 메서드를 호출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super를 사용해서 필드에 접근을 할 수도 있으나 권장되지 않습니다.
super
키워드를 통해서 서브클래스는 부모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위의 설명을 코드로 보여드리겠습니다.
아래의 코드는 슈퍼클래스가 될 클래스인 Superclass
입니다. 이 클래스는 printMethod
라는 메서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public class Superclass {
public void printMethod() {
System.out.println("Printed in Superclass.");
}
}
아래의 코드는 Superclass
의 서브클래스가 될 클래스 Subclass
입니다. 이 클래스는 printMethod()
를 오버라이딩 하고 있습니다.
public class Subclass extends Superclass {
@Override
public void printMethod() {
super.printMethod(); // super 키워드로 슈퍼클래스의 멤버 메서드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System.out.println("Printed in Sub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ubclass s = new Subclass();
s.printMethod();
}
}
기본적으로 상속을 하면 슈퍼클래스의 멤버 중 private
, default
가 아닌 멤버들을 참조할 수 있습니다. 만약 슈퍼클래스의 메서드와 동일한 시그니처를 가진 메서드를 선언한다면 이를 오버라이딩이라고 하며 재정의한다고 표현합니다. 이렇게 하면, 메서드의 동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매개변수와 리턴타입은 변경 불가)
주로 오버라이딩 할 때는 컴파일러에서 컴파일 타임에 체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Override
애노테이션을 붙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오타를 쳐서 실수를 하는 경우를 방지해줍니다.
그리고 이렇게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는 슈퍼클래스의 메서드를 가리기 때문에 super
라는 키워드로 호출을 해야합니다.
위의 코드를 컴파일하고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Printed in Superclass.
Printed in Subclass.
객체지향의 원칙중에서 LSP(Liskov Substitution Principle)이 있는데, 오버라이딩을 하면서 이 원칙이 깨지도록 하면 안됩니다. (이 원칙은 상위 타입의 객체를 하위 타입의 객체로 치환하더라도 상위 타입을 사용하는 다른 코드는 이전과 동일하게 동작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super
키워드는 서브클래스 생성자에서 슈퍼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는데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blic MountainBike (int startHeight, int startCadence, int startSpeed, int startGear) {
super(startCadence, startSpeed, startGear);
seatHeight = startHeight;
}
위 코드를 보면 MountainBike의 생성자는 슈퍼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해서 값을 초기화 함을 알 수 있습니다.
슈퍼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는 것은 서브클래스 생성자의 맨 첫번째 줄에 입력해야합니다. 슈퍼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는 문법은
super();
또는
super(parameter list);
입니다. super()
를 호출하면 슈퍼클래스의 인자없는 생성자가 호출됩니다. super(parameter list)
를 호출하면, 해당 파라미터 리스트에 매핑되는 생성자가 호출됩니다.
만약 슈퍼클래스 생성자가 서브클래스 생성자에서 명시적으로 수행되지 않았다면, 자바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슈퍼클래스의 인자없는 생성자를 넣어줍니다. 만약 슈퍼클래스가 인자없는 생성자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합니다. Object
는 해당 생성자가 있습니다. 만약 Object
가 유일한 슈퍼클래스라면 아무런 문제도 없을 것입니다.
만약, 서브클래스의 생성자가 슈퍼클래스의 생성자를 실행한다면, Object
의 생성자까지 호출되는 생성자의 체인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할 겁니다. 이것은 복잡한 상속관계를 다룰 때 꼭 인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슈퍼클래스에 있는 메서드의 시그니처와 리턴타입이 동일한 서브클래스의 메서드는 슈퍼클래스의 메서드를 재정의 할 수 있습니다.
메소드 오버라이딩은 "충분히 가까운(?)" 클래스를 상속하고 동작을 수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메소드 오버라이딩을 할 때에는 오버라이딩 하려는 메소드의 이름, 파라미터의 수와 타입(리스트), 리턴 타입이 같아야 합니다.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는 원래 정의되어있던 리턴타입의 하위타입을 반환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covariant return type
이라고 합니다.
찾아보니 C#은 covariant return type
을 지원하지 않는다고 합니다.
공변으로 번역할 수 있는 Covariance는 쉽게 말해서 슈퍼타입이 정의되었을 때, 서브타입을 허용한다고 약속하는 것입니다. 이는 리스코프 치환 원칙과도 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즉 상위 타입으로 정의된 요소에 하위 타입을 사용해도 괜찮다는 것입니다.
이 공변 반환 타입은 우리가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할 때, 오버라이딩 한 메서드의 리턴타입의 서브타입을 반환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것입니다.
예제코드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간단한 Producer
클래스와 produce()
메서드가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String
을 매개변수로 받고, 서브클래스의 유연성을 위해 Object
타입으로 String
이 반환됩니다.
public class Producer {
public Object produce(String input) {
Object result = input.toLowerCase();
return result;
}
}
Object
가 리턴타입이므로, 우리는 좀 더 구체적인 타입을 서브클래스에서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를 공변 반환 타입이라고 합니다.
public class IntegerProducer extends Producer {
@Override
public Integer produce(String input) {
return Integer.parseInt(input);
}
}
공변 반환 타입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리스코프 치환 원칙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당연하게도 리턴타입은 슈퍼클래스의 메서드의 리턴타입과 호환되는 타입만 지정가능합니다.(혹시 몰라서 해봤는데 안되더라고요.)
먼저 우리는 간단히 Producer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코드를 IntegerProducer
로 교체할겁니다. 결과는 Object
타입으로 반환된다고 했으므로 호환이 됩니다. Integer
타입을 리턴한다고 해도 말이죠. 물론 위의 코드는 예제 코드이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리스코프 치환 원칙의 행동이 호환되어야 함을 지키지는 않습니다.
아래의 테스트 코드를 보면, Object 타입으로 반환하지만 실제 리턴되는 인스턴스의 타입이 다르고 그 결과도 상이함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쨌든 동작합니다.
만약, 좀 더 명시적인 타입의 반환을 원한다면, 명시적으로 IntegerProducer
로 교체하면 됩니다.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class ProducerTest {
@Test
void whenInputIsArbitrary_thenProducerProducesString() {
String arbitraryInput = "just a random text";
Producer producer = new Producer();
Object objectOutput = producer.produce(arbitraryInput);
assertThat(objectOutput).isEqualTo(arbitraryInput).isInstanceOf(String.class);
}
@Test
void whenInputIsSupported_thenProducerCreatesInteger() {
String integerAsString = "42";
IntegerProducer producer = new IntegerProducer();
Object result = producer.produce(integerAsString);
assertThat(result).isInstanceOf(Integer.class).isEqualTo(Integer.parseInt(integerAsString));
}
@Test
void whenInputIsSupported_thenIntegerProducerCreatesIntegerWithoutCasting() {
String integerAsString = "42";
IntegerProducer producer = new IntegerProducer();
Integer result = producer.produce(integerAsString);
assertThat(result).isEqualTo(Integer.parseInt(integerAsString));
}
}
이 부분은 자바를 1년 넘게 알고 있었는데, 새롭게 배운 부분이라 신기했습니다.
언젠가 써먹을 일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static
메소드슈퍼클래스의 static
메서드와 동일한 메서드 시그니처를 사용하여 서브클래스의 static
메서드를 정의하는 경우, 슈퍼클래스의 static
메서드는 숨겨집니다.
숨겨진다는 의미는 어디에서 호출되는지에 따라 동작이 달라진다고 이해하면 좋습니다. 이는 예제 코드를 통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Animal {
public static void testClassMethod() {
System.out.println("The static method in Animal");
}
public void testInstanceMethod() {
System.out.println("The instance method in Animal");
}
}
public class Cat extends Animal {
public static void testClassMethod() {
System.out.println("The static method in Cat");
}
@Override
public void testInstanceMethod() {
System.out.println("The instance method in Ca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imal animal = new Cat();
Animal.testClassMethod();
animal.testInstanceMethod();
}
}
출력이 어떻게 나올까요?
The static method in Animal
The instance method in Cat
위와같이 출력됩니다.
인터페이스에 있는 디폴트 메서드와 추상 메서드는 인스턴스 메소드 처럼 상속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래스나 인터페이스의 상위 타입이 동일한 시그니처를 가진 여러 디폴트 메서드를 제공하는 경우, 자바 컴파일러는 이름 충돌을 피하기 위해 상속 규칙을 따릅니다. 이 규칙은 두가지 원칙을 따릅니다.
인스턴스 메서드는 인터페이스의 디폴트 메서드보다 선호됩니다.
코드를 통해 알아봅니다.
public class Horse {
public String identityMyself() {
return "I am a horse";
}
}
public Interface Flyer {
default public String identityMyself() {
return "I am able to fly.";
}
}
public Interface Mythical {
default public String identityMyself() {
return "I am a mythical creature.";
}
}
public class Pegasus extends Horse implements Flyer, Mythical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Pegasus pegasus = new Pegasus();
System.out.println(pegasus.identityMyself());
}
}
위 코드의 출력은 어떻게 될까요?
I am a horse
가 출력됩니다.
다른 후보가 오버라이딩한 메서드는 무시됩니다. 상위 타입이 공통 조상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음 코드를 통해 알아봅시다.
public interface Animal {
default public String identityMyself() {
return "I am an animal.";
}
}
public interface EggLayer extends Animal {
default public String identityMyself() {
return "I am able to lay eggs.";
}
}
public interface FireBreather extends Animal { }
public class Dragon implements EggLayer, FireBreath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ragon dragon = new Dragon();
System.out.println(dragon.identityMyself());
}
}
위 코드의 출력은 어떻게 될까요?
I am able to lay eggs.
가 나옵니다.
두 개 이상의 독립적으로 정의된 디폴트 메서드가 충돌하거나, 디폴트 메서드와 추상 메서드가 충돌되는 경우에는 컴파일러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 경우 상위 타입의 메서드를 명시적으로 재정의 해주어야 합니다.
이 역시 예제 코드를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public interface OperateCar {
default public int startEngine(EncryptedKey key) {
// 구현부
}
}
public interface FlyCar {
default public int startEngine(EncryptedKey key) {
// 구현부
}
}
위의 두 인터페이스는 동일한 시그니처를 가지는 메서드 startEngine
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super
키워드와 함께 기본 구현을 실행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public class FlyingCar implements OperateCar, FlyCar {
public int startEngine(EncryptedKey key) {
FlyCar.super.startEngine(key);
OperateCar.super.startEngine(key);
}
}
super
는 기본값을 정의하거나 상속을 수행하는 슈퍼인터페이스를 참조합니다. 이렇게 호출한다면 같은 시그니처를 사용하는 여러 인터페이스를 구별하는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super
키워드를 사용해서 클래스, 인스턴스 모두에서 기본 메서드를 호출할 수도 있습니다.
상속된 메서드가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인터페이스의 static
메서드는 상속되지 않습니다.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는 슈퍼클래스의 메서드보다 더 큰 영역의 접근 제어자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그 반대는 불가능합니다.
슈퍼클래스 인스턴스 메서드 | 슈퍼클래스 스태틱 메서드 | |
---|---|---|
서브클래스 인스턴스 메서드 | Override | Compile Error |
서브클래스 스태틱 메서드 | Compile Error | Hide |
참고로 서브클래스에서 슈퍼클래스에서 상속된 메서드를 오버로딩할 수 있고, 이는 하위클래스에 종속적인 새로운 메서드입니다.
오라클 자바 튜토리얼(메소드 오버라이딩)
밸덩 java covariant return type
다이나믹 메소드 디스패치는 자바의 테크닉 중 하나로, 런타임에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가 실행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참조 타입이 부모 타입인 경우에도 동작하므로 런타임 시점에 다형성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Animal {
public void move() {
System.out.println("Animals can move");
}
}
public class Dog extends Animal {
@Override
public void move() {
System.out.println("Dogs can walk and run");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nimal a = new Animal(); // Animal 참조, Animal 객체
Animal b = new Dog(); // Animal 참조, Dog 객체
a.move(); // Animal 클래스에 정의된 메서드 실행
b.move(); // Dog 클래스에 정의된 메서드가 실행됨(다이나믹 메소드 디스패치)
}
}
이 결과는 다음과 같이 출력됩니다.
Animals can move
Dogs can walk and run
위 예제에서 b는 Animal
타입을 참조하지만 Dog
클래스에 정의된 move
메서드가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이유는 컴파일 타임에는 참조 타입만 확인하지만, 런타임에는 JVM이 객체의 타입을 파악하고 그 객체에 정의된 메서드를 실행합니다.
tutorialspoint(Dynamic method dispatch)
추상클래스는 abstract
라는 키워드가 추가된 클래스입니다. 이 클래스는 추상 메서드를 포함하고 있거나, 포함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추상 클래스 자체는 인스턴스화를 할 수 없지만, 서브클래싱을 할 수는 있습니다.
추상메서드는 다음과 같이 선언할 수 있습니다. 특이점으로는 구현하지 않고 {}
대신 세미콜론;
이 온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abstract void moveTo(double deltaX, double deltaY);
클래스에 추상메서드가 포함된 경우에는 반드시 그 클래스는 추상클래스어야 합니다.
public abstract class GraphicObject {
// field
// concrete method
abstract void draw();
}
추상 클래스가 서브클래싱 될 때, 서브 클래스는 보통 부모 클래스의 모든 추상 메서드를 구현하여 제공합니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역시 추상클래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abstract
키워드를 인터페이스에서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default
, static
을 제외한 모든 메서드는 암시적으로 abstract
가 붙어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용할 수 있지만 붙이지 않습니다.
추상 클래스는 인터페이스와 비슷하지만 많은 점이 다릅니다.
public static final
입니다.public
이외의 접근 제어자가 필요한 경우static
, final
이 아닌 필드를 선언하려고 할 때, 상태를 액세스 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고 싶은 경우Comparable
, Cloneable
)참고로 추상클래스가 인터페이스를 상속하는 경우 꼭 모든 메서드를 구현하지 않아도 됩니다.
Java의 final
키워드는 변경불가능의 의미를 가집니다.
변수의 경우에는 읽기 전용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메서드의 경우에는 오버라이드 불가를 나타냅니다. 특히 생성자에서 호출되는 메서드는 final로 선언하는 편이 바람직합니다. 왜냐하면 오버라이딩으로 동작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의도치 않게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클래스에 선언된 final
키워드는 서브클래싱 할 수 없습니다. 즉, 확장이 불가능하게 막습니다.
Object
클래스는 Java에서 굉장히 특별한 의미를 갖는 클래스입니다. 모든 클래스의 직.간접적 슈퍼클래스이고, java.lang
패키지에 존재합니다.
Object
클래스는 매개변수 없는 생성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Object
클래스에서 상속되는 메서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rotected Object clone() throws CloneNotSupportedException
: 이 객체의 복사본을 만들고 반환하는 메서드입니다.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는 복제 불가능한 경우입니다. 간단하게는 Clone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형태는 native
메서드라 확인할 수 없네요.public boolean equals(Object obj)
: 다른 객체와 비교해서 다른 객체와 이 객체가 같은지를 나타내는 동등성 비교를 수행합니다. 참고로 내부 구현은 ==
동일성 비교여서 오버라이딩을 해주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동일성 비교를 수행합니다. 이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해서 동등성 비교의 기준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 메서드를 오버라이딩 할 때에는 아래에 설명할 hashCode()
메서드 또한 오버라이딩 해야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Effective Java에 소개됩니다.)protected void finalize() throws Throwable
: 가비지 컬렉터가 객체에 대한 참조가 없는 경우 호출하는 메서드입니다. 실행될지 불확실 하기 때문에 크리티컬한 코드를 여기에 두면 안됩니다.public final Class getClass()
: 객체의 런타임 클래스를 호출합니다. Reflection을 사용할 때, 종종 사용하게 됩니다.public int hashCode()
: 객체의 해시코드 값을 반환합니다. 두 객체가 같으면 해시코드도 같아야하기 때문에 equals()
를 오버라이딩 할 때, hashCode()
또한 오버라이딩 해야합니다.public String toString()
: 객체의 문자열 형태를 반환합니다. 기본적으로는 거의 의미 없는 정보를 보여주기에 프로그래머는 이 메서드의 오버라이딩을 통해 객체가 유용한 정보를 반환하도록 정의해야합니다. 튜토리얼에서는 항상 오버라이딩을 고려하라고 일러두고 있네요.그리고 오버라이딩 할 수 없도록 final
로 선언된 notify()
, notifyAll()
, wait()
메서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되는 스레드간의 동기화에 사용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