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1

DIORJJ·2024년 4월 15일
1

리눅스

목록 보기
1/5
post-thumbnail

=========================
-- Linux 코딩 자료

-- 서버접속

echo "사 업 명: 2023 K-Digital Training"
echo "관련기관: 고용노동부, 한국교육기술대학교 직업능력 심사평가원"
echo "과 정: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자과정(NCS)"
echo "훈련기간: 2024.12.27-2024.06.20"
echo "훈련기관: 스마트 인재개발원"
echo "담 임: 송승호 연구원"

-- ping test
C:\Users\smhrd> ping 192.168.0.75
172.30.1.32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3
172.30.1.32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3
172.30.1.32의 응답: 바이트=32 시간=1ms TTL=63
172.30.1.32의 응답: 바이트=32 시간=2ms TTL=63

-- 구글 putty 다운로드
-- telnet 프로그램
-- 원격지 서버에 접속하여 운영할 수 있는 프로그램..
putty 다운로드 및 설치

-- Putty 설정 및 접속
host: 172.30.1.32
host: 192.168.219.101 (교수님꺼)
saved : Ras-server

-- Raspberry 접속
stduser / stduser


-- 사용자의 생성(관리자 권한의 작업)

sudo useradd -g stduser -m inho(교수님)
sudo useradd -g stduser -m jinhee(교수님)
sudo passwd jinhee (내꺼)
=> 내 비번: 12345 -> 123123으로 바꿈.

-- 신규 생성된 사용자로 접속
inho / inho
pwd
/home/inho

=========================
-- Linux 2장

-- 기초 명령어

date : 현재 날짜확인
date '+%Y-%m-%d'
cal : 현재 달의 달력을 확인
clear : 화면을 지운다.

logname : 최초 로그인한 계정
users : 로그인한 사용자 목록

whoami : 현재 새션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
who am i : 최초 접속자 확인
who : 어떤 사용자가 접속되어있는지 확인
su : 계정을 바꾼다.
exit : 계정에서 나간다.

hostname : 서버이름 확인
pwd : 현재 디렉토리 위치 확인

echo have a good time : 입력 문자열 출력
echo -e "좋은 하루입니다.\n행복하세요"
echo -e "사 업 명: 2023 K-Digital Training \n관련기관: 고용노동부, 한국교육기술대학교 직업능력 심사평가원 \n과 정: 빅데이터 분석서비스 개발자과정(NCS) \n훈련기간: 2023.12.26-2024.06.19 \n훈련기관: 스마트 인재개발원 \n담 임: 고민성 연구원"
-e : 이스케이프 명령사용
-n : 줄바꿈 안됨.

echo "오늘은 $(date '+%Y-%m-%d')일 입니다."

env : 로그인한 계정의 환경 확인
env | grep HOME -> 필요한 단어 선택적 조회
history : 입력한 명령 내역 조회

-- read : 키보드로 부터 입력받는다.
read imsi
안녕하세요
echo $imsi

=========================
-- Linux 3장

-- 파일, 디랙토리 관리

-- 파일을 생성하기
touch : 빈파일을 만듬.
파일 목록 보는 명령어 : ls
touch emptyfile
편집기를 사용: vi, nano, pico
복사/옮기는법: cp, mv

-- file의 복사,이동(재명명), 삭제
cp from-file to-file
cp -r from-dir to-dir

mv 원본파일 목적파일
mv from-file to-file
mv -i from-file to-file
mv passwd mypasswd <-- 이름을 변경도 가능하다.
-.이름을 바꾸는 재명명

-- 리다이렉트:
-- 출력 방향을 변경: /etc/passws 내용을 파일(tmp_pass)로 저장
-- > : 출력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cat /etc/passwd > tmp_pass

파일을 생성한다.

파일을 생성하고 추가한다.


-- file의 내용 확인
-- cat 파일명
cat 파일명
cat /etc/passwd
cat -n /etc/passwd -- 줄 번호 확인
cat /etc/passwd |grep bigdata

more 한 페이지씩 조회 방향키 사용불가
more /etc/passwd

less : 한 페이지씩 조회 방향키 사용가능
less /etc/passwd

tail : 파일의 끝부분 조회
-[n] : 해당 수의 라인조회
-f : 파일의 마지막 부분 조회

head : 파일의 앞부분 조회
-[n] : 해당 수의 라인조회

profile
판교 디벨로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