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웡
실제로 hook을 구현하며, hook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해보려 한다. + js에 대한 이해도를 높인다.이 문장의 의미는 이렇다. value에 0을 할당하고, setValue함수를 통해서만 value값을 바꿀 수 있다.느낌상 객체지향언어의 class와 같은 느낌이
지난편 마지막 코드에서 주석과 같은 결과를 출력하는 이유는 아래와 같다.이유: React는 싱글톤이자 클로저다. 때문에, setCount와 setText가 같은 value값을 가리키기 때문이다.1\. 최초 할당시에 \_val은 비어있으므로, 각각 count와 text에
자 이제 hook 뉴비에게는 끝판왕이라 할 수 있는 useEffect를 만들어보자.먼저, 만들어보기 전에 useEffect()는 이렇다. 이렇게 생겼다. useEffect는 첫 번째 인자로 콜백함수를 두 번째 인자로 배열을 넘겨주는 것 같다. 이제 추가해보자. 우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