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소스 조회
@GetMapping("/get/test")
public void getTest(@RequestBody MemberData memberData){
System.out.println(memberData.getId());
System.out.println(memberData.getPwd());
}
curl --location --request GET 'http://localhost/get/test' \
--header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data-raw '{
"id":"1234",
"pwd":"test"
}'
위에 보이는 Controller 에 GET 요청으로 curl 요청할 경우 Console 에 id:1234 pwd:test 가 정상적으로 메핑되어 들어온다.
하지만 GET 요청으로 데이터를 보낸후 어떤 처리를 서버에 요청하는것은 REST 한 설계와 아직은 맞지 않는듯하다.
POST 와 GET 두 요청다 사실 서버에 조회용으로써 사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GET 으로 요청을하였을 때의 장점은 서버간의 규약에 있어 A서버는 하나의 GET 요청이 들어올 경우 캐싱을 하는등과 같은 규약이 있을 수 있다. 모든 요청을 중구 난방으로 POST 로 요청이 들어올 경우 POST 요청을 서버에서 성능을 높이기 위한 어떠한 처리를 하기 애매해질 수 있다.
바디에 담긴 데이터를 등록 또는 어떤 처리를 요청할때 사용함.
리소스를 대체, 해당 리소스가 없을 경우 생성 있으면 대체
위 요청같이 들어온 데이터 그대로 기존 데이터를 완전이 대체함.
리소스 부분 변경
리소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