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Google Cloud Platfrom 계정 생성하기
- Gke
무료
로 사용하기 클릭- 3개월간 무료!!
🔴 (2) 클러스터 생성하기
- 클러스터 모드 설정
- GKE Autopilot 클릭
🔴 (3) Autopilot 클러스터 생성
이름
과리전
부분에 작성- 공개 클러스터 클릭
🔴 (4) 생성된 클러스터
- 생성된 클러스터를 클릭
🔴 (5) 클러스터 연결
- 연결 클릭
🔴 (6) 클러스터 연결 후 cloud shell 실행
- cloud shell 실행 클릭
- 터미널 창이 생김
🟠 (7) 명령어로 yaml 파일 다운
# mysql-deployment.yaml curl -LO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wordpress/mysql-deployment.yaml # wordpress-deployment.yaml curl -LO https://k8s.io/examples/application/wordpress/wordpress-deployment.yaml # kustomization.yaml (1) cat <<EOF >./kustomization.yaml secretGenerator: - name: mysql-pass literals: - password=YOUR_PASSWORD EOF # kustomization.yaml (2) cat <<EOF >>./kustomization.yaml resources: - mysql-deployment.yaml - wordpress-deployment.yaml EOF
🟡 (8) cloud shell에서 명령어 작성
kubectl apply -k ./ kubectl get pvc kubectl get pods kubectl get services wordpress
🟡 (9) EXTERNAL-IP 주소확인
- 인터넷 창에서 EXTERNAL-IP 검색 (##.###.###.###)
안녕하세요 선배님, 해당 수업 수강중인 학생인데,, 쿠버네티스를 이용해서 서로 다른 두 pod 통신하는 법을 잘 모르겠어서 혹시 도움 받을 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