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패키지를 설치함으로써 스프링 부트를 위한 환경 설정을 해주게 됩니다.
해당 명령어는 vscode 내 명령 프롬프트를 여는 명령어입니다.
여기서 프로젝트 생성하는 명령어를 입력해야 프로젝트 생성이 시작합니다.
그러면 자동완성 기능으로 인해 Spring Initializr: Generate ~ 항목이 보이실 겁니다.
여기서 maven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으시면 Generate a Maven Project를, gradl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싶으시면 Generate a Gradle Project를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는 Gradle 프로젝트를 선택해보았습니다.)
(저는 Java를 선택하였습니다.)
기본적으로 com.example로 되어있지만 이 부분은 나중에 패키지의 기본 경로가 되기 때문에 연관 있는 것으로 설정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마찬가지로, 관련있는 것으로 변경해줍니다.
스프링 부트 버전같은 경우에는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버전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의존성 설정도 바로 해 줄 수 있습니다.
하나를 선택하면 체크가 되면서 스크롤이 자동으로 맨 위로 올라가므로 내리면서 여러 개를 선택해줄 수 있습니다.
또한, 의도치 않은 의존성을 선택했다면 해당 의존성을 클릭하거나 해당 의존성 위치에서 엔터를 누르면 취소할 수 있습니다.
추가할 의존성을 모두 선택하셨다면 Selected ~ dependencies를 선택하시면 폴더를 생성할 위치를 묻게 되고 Spring boot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틀이 구성되면서 프로젝트가 생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