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빈 스코프

안나·2024년 3월 21일
0

Spring

목록 보기
16/16
post-thumbnail
이 글은 인프런에서 김영한 님의 "스프링 핵심원리 - 기본편"을 수강 후 공부한 내용을 정리한 게시글입니다.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 지적 부탁드립니다.


✏️ 빈 스코프란?


스코프는 빈이 존재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 싱글톤: 기본 스코프, 스프링 컨테이너의 시작과 종료까지 유지되는 가장 넓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 프로토타입: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까지만 관여하고 더는 관리하지 않는 매우 짧은 범위의 스코프이다.
  • 웹 관련 스코프
    • request: 웹 요청이 들어오고 나갈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 session: 웹 세션이 생성되고 종료될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 application: 웹의 서블릿 컨텍스트와 같은 범위로 유지되는 스코프이다
  • 컴포넌트 스캔 자동 등록
@Scope("prototype")
@Component
public class HelloBean {}
  • 수동 등록

@Scope("prototype")
@Bean
PrototypeBean HelloBean() {
	return new HelloBean();
}



✏️ 프로토타입 스코프


프로토타입 스코프는 싱글톤 스코프와 다르게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조회하면 스프링 컨테이너는 항상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반환한다.

image

image

  1. 프로토타입 스코프의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한다.
  2.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시점에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하고, 필요한 의존관계를 주입한다
  3. 스프링 컨테이너는 생성한 프로토타입 빈을 클라이언트에 반환한다.
  4. 이후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같은 요청이 오면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특징
  •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할 때 마다 새로 생성된다.
  • 스프링 컨테이너는 프로토타입 빈의 생성과 의존관계 주입 그리고 초기화까지만 관여한다.
  • 빈의 소멸 콜백을 하는 @PreDestory 같은 종료 메소드는 호출 되지 않는다.
  • 그래서 프로토타입 빈은 프로토타입 빈을 조회한 클라이언트가 관리해야 한다. 종료 메서드에 대한 호출도 클라이언트가 직접 해야한다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public class PrototypeTest {
    @Test
    public void prototypeBean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find prototypeBean1");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find prototypeBean2");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1 = " + prototypeBean1);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2 = " + prototypeBean2);
        assertThat(prototypeBean1).isNotSameAs(prototypeBean2);
        ac.close(); //종료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프로토타입 빈을 2번 조회했으므로 완전히 다른 스프링 빈이 생성되고, 초기화도 2번 실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싱글톤 빈과 프로토타입 빈을 함께 사용시 문제점

싱글톤 빈과 함께 사용할 때는 의도한 대로 잘 동작하지 않으므로 주의하자.

<프로토타입만 사용하는 경우>

image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prototypeFind()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 prototypeBean1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1.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1.getCount()).isEqualTo(1);
        PrototypeBean prototypeBean2 = ac.getBean(PrototypeBean.class);
        prototypeBean2.addCount();
        assertThat(prototypeBean2.getCount()).isEqualTo(1);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 프로토타입 빈만 사용할 경우 클라이언트가 스프링컨테이너에게 프로토타입 빈을 요청하게 되면 새로 생성해여 반환하기 때문에 항상 count 의 값는 초기값 0에서 1증가하여 1을 반환하게 된다.

이번에는 clientBean 이라는 싱글톤 빈이 의존관계 주입을 통해서 프로토타입 빈을 주입받아서 사용하는 예를 보자

<싱글톤 빈에서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하는 경우>

image

package hello.core.scop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public class SingletonWithPrototypeTest1 {

	@Test
    void singletonClientUsePrototype()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lientBean.class, PrototypeBean.class);
        
        ClientBean clientBean1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1 = clientBean1.logic();
        assertThat(count1).isEqualTo(1);
        
        ClientBean clientBean2 = ac.getBean(ClientBean.class);
        int count2 = clientBean2.logic();
        assertThat(count2).isEqualTo(2);
        
    }
    
    
    static class ClientBean {
        
        private final PrototypeBean prototypeBean;
        
        @Autowired
        public ClientBean(PrototypeBean prototypeBean) {
            this.prototypeBean = prototypeBean;
        }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Scope("prototype")
    static class PrototypeBean {
        
        private int count = 0;
        
        public void addCount() {
            count++;
        }
        
        public int getCount() {
            return count;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init "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destroy() {
            System.out.println("PrototypeBean.destroy");
        }
    }
}

clientBean 은 싱글톤이므로, 보통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시점에 함께 생성되고, 의존관계 주입도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이 clientBean이 생성될때 의존관계에 있는 프로토타입 빈도 생성되고 주입받게 된다.

이때 프로토타입의 빈의 count 값은 초기값 0이다.

다음 count를 증가시키는 메소드를 호출하게 되면 clientBean 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해서 받는다.싱글톤이므로 항상 같은 clientBean이 반환되어 의존하고 있는 프로토타입을 접근할 수 있다. 이때 clientBean이 참조하고 있는 프로토타입 빈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빈의 메소드를 실행하게 되어 count 값이 1 증가하여 1이 된다.

이후 다른 클라이언트가 count를 증가시키는 메소드를 호출하게 되면 위와 동일하게 동일한 프로토타입의 빈을 참조하게 되어 1이었던 count 값을 2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clientBean이 내부에 가지고 있는 프로토타입 빈은 이미 과거에 주입이 끝난 빈이다. 주입 시점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요청해서 프로토타입 빈이 새로 생성이 된 것이지, 사용 할 때마다 새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싱글톤 빈을 사용하므로, 싱글톤 빈이 프로토타입 빈을 사용하게 된다. 그런데 싱글톤 빈은 생성 시점에만 의존관계 주입을 받기 때문에, 프로토타입 빈이 새로 생성되기는 하지만, 싱글톤 빈과 함께 계속 유지되는 것이 문제다


싱글톤 빈과 프로토타입 빈을 함께 사용시 문제점 해결하기 - Provider

@Autowired
private ObjectProvider<PrototypeBean> prototypeBeanProvider;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totypeBeanProvider.getObject();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지정한 빈을 컨테이너에서 대신 찾아주는 DL(Dependency Lookup)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로 ObjectProvider 이다.
  • ObjectProviderprototypeBeanProvider.getObject() 를 호출하면 내부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서 반환하고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이 생성된다.
  • ObjectProvider: ObjectFactory상속, 옵션, 스트림 처리등 편의 기능이 많고, 별도의 라이브러리 필요 없음, 스프링에 의존
@Autowired
private Provider<PrototypeBean> provider;
public int logic() {
    PrototypeBean prototypeBean = provider.get();
    prototypeBean.addCount();
    int count = prototypeBean.getCount();
    return count;
}
  • javax.inject.Provider 라는 JSR-330 자바 표준을 사용한다.(스프링 부트 3.0은 jakarta.inject.Provider 사용 - gradle 에 추가)
  • provider 의 get() 을 호출하면 내부에서는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해당 빈을 찾아서 반환하고 항상 새로운 프로토타입 빈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자바 표준이고, 기능이 단순하므로 단위테스트를 만들거나 mock 코드를 만들기는 훨씬 쉬워진다.



✏️ 웹 스코프


image

동시에 여러 HTTP 요청이 오면 정확히 어떤 요청이 남긴 로그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이럴때 사용하기 딱 좋은것이 바로 request 스코프이다.

특징

  • 웹 스코프는 웹 환경에서만 동작한다.
  • 스프링이 해당 종료시점까지 관리한다. 따라서 종료 메소드가 호출된다.

종류

  • request: HTTP 요청 하나가 들어오고 나갈 때 까지 유지되는 스코프, 각각의 HTTP 요청마다 별도의 빈 인스턴스가 생성되고, 관리된다.
  • session: HTTP Session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application: 서블릿 컨텍스트( ServletContext )와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websocket: 웹 소켓과 동일한 생명주기를 가지는 스코프



✏️ request 스코프 예제


동시에 다양한 http 요청이 들어오더라도 UUID와 requestURL을 로그에 함께 남겨 요청을 구분해보자.

build.gradle 에 web 라이브러리 추가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MyLogger

package hello.core.comm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Scop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javax.annotation.PostConstruct;
import javax.annotation.PreDestroy;
import java.util.UUID;
@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public class MyLogger {

    private String uuid;
    private String requestURL;

    public void setRequestURL(String requestURL) {
        this.requestURL = requestURL;
    }

    public void log(String message) {
        System.out.println("[" + uuid + "]" + "[" + requestURL + "] " +message);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
        uuid = UUID.randomUUID().toString();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reate:" + this);
    }

    @PreDestroy
    public void close() {
        System.out.println("[" + uuid + "] request scope bean close:" + this);
    }
}
  • @Scope(value = "request")를 사용해서 request 스코프로 지정했다. 이제 이 빈은 HTTP 요청 당 하나씩 생성되고, HTTP 요청이 끝나는 시점에 소멸된다.
  • 이 빈이 생성되는 시점에 자동으로 @PostConstruct 초기화 메서드를 사용해서 uuid를 생성해서 저장해둔다.
  • 이 빈은 HTTP 요청 당 하나씩 생성되므로, uuid를 저장해두면 다른 HTTP 요청과 구분할 수 있다.
  • 이 빈이 소멸되는 시점에 @PreDestroy 를 사용해서 종료 메시지를 남긴다.
  • requestURL 은 이 빈이 생성되는 시점에는 알 수 없으므로, 외부에서 setter로 입력 받는다.

위 MyLogger를 사용할 테스트 컨트롤러와 서비스 코드를 작성해보자.

LogDemoController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hello.core.logdemo.LogDemo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LogDemoService

package hello.core.logdemo;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 위와같이 코드를 작성하고 실행하게 되면 오류가 난다.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yLogger': Scope 'request' is not active for the 
current thread; consider defining a scoped proxy for this bean if you intend to 
refer to it from a singleton;
  • 위와 같은 오류가 나는 이유는 컨트롤러에 MyLogger를 주입받는 부분때문이다.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 스프링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시점에 싱글톤 빈은 생성되어 주입할 수 있지만 request 스코프 빈은 아직 생성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주입을 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위와 같은 문제는 Provider와 프록시로 해결할 수 있다.





✏️ 스코프와 Provider


LogDemoController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hello.core.logdemo.LogDemo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LogDemoService

package hello.core.logdemo;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ObjectProvide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ObjectProvider<MyLogger> myLoggerProvid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 myLogger = myLoggerProvider.getObject();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 ObjectProvider 덕분에 ObjectProvider.getObject() 를 호출하는 시점까지 request scope 빈의
    생성을 지연할 수 있다.
  • ObjectProvider.getObject() 를 호출하시는 시점에는 HTTP 요청이 진행중이므로 request scope 빈의 생성이 정상 처리된다.
  • ObjectProvider.getObject()LogDemoController LogDemoService에서 각각 한번씩 따로
    호출해도 같은 HTTP 요청이면 같은 스프링 빈이 반환된다!



✏️ 스코프와 프록시


LogDemoController

package hello.core.web;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hello.core.logdemo.LogDemo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ponseBody;
import javax.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Controller {

    private final LogDemoService logDemoService;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RequestMapping("log-demo")
    @ResponseBody
    public String logDemo(HttpServletRequest request) {
        String requestURL = request.getRequestURL().toString();
        myLogger.setRequestURL(requestURL);
        myLogger.log("controller test");
        logDemoService.logic("testId");
        return "OK";
    }
}

LogDemoService

package hello.core.logdemo;
import hello.core.common.MyLogger;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DemoService {

    private final MyLogger myLogger;

    public void logic(String id) {
        myLogger.log("service id = " + id);
    }
}

MyLogger


@Component
@Scope(value = "request",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public class MyLogger {
				...

}
  •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를 추가해주자.
    • 적용 대상이 인터페이스가 아닌 클래스면 TARGET_CLASS 를 선택
    • 적용 대상이 인터페이스면 INTERFACES 를 선택
    • 이렇게 하면 MyLogger의 가짜 프록시 클래스를 만들어두고 HTTP request와 상관 없이 가짜 프록시 클래스를 다른 빈에 미리 주입해 둘 수 있다.
  • 어노테이션에 proxyMode를 지정해줬을 뿐인데 아까는 주입문제로 오류났던 Controller 와 Service가 정상 동작 한다. 그 이유는 CGLIB라는 라이브러리로 클래스를 상속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만들어서 주입하기 때문이다!
  • @Scope 의 proxyMode = ScopedProxyMode.TARGET_CLASS) 를 설정해줬을 뿐인데 아까는 주입문제로 오류났던 Controller 와 Service가 정상 동작 한다. 그 이유는 스프링 컨테이너는 CGLIB
    라는 바이트코드를 조작하는 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MyLogger를 상속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생성하여 주입하기 때문이다.
  • 실제로 request 스코프 빈이 생성 되기 전 MyLogger를 출력하면 아래와 같다.
    myLogger = class hello.core.common.MyLogger$$EnhancerBySpringCGLIB$$b68b726d
    • MyLogger$$EnhancerBySpringCGLIB 이라는 클래스로 만들어진 객체가 대신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myLogger"라는 이름으로 진짜 대신에 이 가짜 프록시 객체를 등록한다. ac.getBean("myLogger", MyLogger.class) 로 조회해도 프록시 객체가 조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의존관계 주입도 이 가짜 프록시 객체가 주입된다.
  • 그러면 가짜 프록시 객체가 어떻게 MyLog의 메소드에 접근할 수 있을까 ?
    • 가짜 프록시 객체는 내부에 진짜 myLogger 를 찾는 방법을 알고 있다.
    • 클라이언트가 myLogger.log() 을 호출하면 사실은 가짜 프록시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한 것이다.
    • 가짜 프록시 객체는 request 스코프의 진짜 myLogger.log() 를 호출한다.
    • 가짜 프록시 객체는 원본 클래스를 상속 받아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이 객체를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입장에서는 사실 원본인지 아닌지도 모르게,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다형성)

image


<정리>

  • CGLIB라는 라이브러리로 내 클래스를 상속 받은 가짜 프록시 객체를 만들어서 주입한다.이 가짜 프록시 객체는 실제 요청이 오면 그때 내부에서 실제 빈을 요청하는 위임 로직이 들어있다.
  • 가짜 프록시 객체는 실제 request scope와는 관계가 없다. 그냥 가짜이고, 내부에 단순한 위임 로직만 있고, 싱글톤 처럼 동작한다.
  • 프록시 객체 덕분에 클라이언트는 마치 싱글톤 빈을 사용하듯이 편리하게 request scope를 사용할 수 있다.
  • 사실 Provider를 사용하든, 프록시를 사용하든 핵심 아이디어는 진짜 객체 조회를 꼭 필요한 시점까지 지연처리한다는 점이다. 단지 애노테이션 설정 변경만으로 원본 객체를 프록시 객체로 대체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다형성과 DI 컨테이너 가 가진 큰 강점이다.
    꼭 웹 스코프가 아니어도 프록시는 사용할 수 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