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ver III] 소수의 자격 - 6219
성능 요약
메모리: 16376 KB, 시간: 148 ms
범위 A ~ B 까지 순회하면서 각 숫자들이 소수인지 판별
소수이면 D를 포함하는지 판별
➡️ 해당 풀이법의 시간 복잡도 :
다만 소수 판별 경우 이면 시간초과니 까지만 탐색하여 으로 줄이기로 하였다. 다시 생각해보니 이렇게 되면 이어서 초과가 날것 같다. ➡️ 해보니까 초과는 안나지만 느리긴 하더라..
위 방법은 패스
범위 A ~ B까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를 활용하여 소수 판별
소수이면 D를 포함하는지 판별
여기서 최악의 경우는 A = 2,000,000 , B = 4,000,000 이다.
➡️ 해당 풀이법의 시간 복잡도 :
for (int i = 2; i <= B; i++) {
if(!isPrime[i]) continue;
if(A <= i && hasD(i)) {
cnt++;
}
for (int j = i*i; j <= B ; j +=i) {
isPrime[j] = false;
}
}
처음에는 이렇게 코드를 짰다.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로직과 함께 D를 가지고 있는지 판별하고 그 수의 배수를 false로 바꿔주는 형식이다.
이렇게 하게 되면 i 가 1,000,000이 되면 int 범위를 넘어가 j = i * i를 해줄 수 없기 때문에 최적화가 불가능하다.
범위를 잘 생각하자 … 다음과 같이 나눠 판별할 수 있도록 수정해주었다.
//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소수 판별)
for (int i = 2; i * i<= B; i++) { //log(log(n))
if(!isPrime[i]) continue;
for (int j = i*i; j <= B ; j += i) { //log(n)
isPrime[j] = false;
}
}
// D 숫자 포함 판별
for (int i = A; i <=B ; i++) { // n
if(isPrime[i] && hasD(i)){
cnt++;
}
}
생각한 시간복잡도와 로직은 맞게 판단하였다.
그.러.나
처음엔 완탐방법이 시간복잡도가 통과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완탐으로 짠 코드가 있어서 해봤더니 통과하였다 .. 두둥 ~!
소수 판별하는 과정에서 2 ~ 까지만 판별하게 되면 수가 작을 때는 더 작게 커도 2,000까지여서 그런지 통과가 가능하더라 …
+) 물론 N까지 돌고서 소수판별하게 되면 시간초과 난다.
// 첫 번째 접근방법. 완탐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_6219 {
static int A;
static int B;
static int D;
static int c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i = A; i<= B; i++) {
if(isPrime(i) && hasD(i)){
cnt++;
}
}
System.out.println(cnt);
}
private static boolean hasD(int i) {
while (i > 0){
int n = i % 10;
if(n == D){
return true;
}
i /= 10;
}
return false;
}
private static boolean isPrime(int n) {
if(n == 1) return false;
for (int i = 2; i*i <= n; i++) {
if(n % i == 0){
return false;
}
}
return true;
}
}
// 두번째 접근방법.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_6219 {
static int A;
static int B;
static int D;
static boolean isPrime[];
static int cn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A = Integer.parseInt(st.nextToken());
B = Integer.parseInt(st.nextToken());
D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sPrime = new boolean[4000001];
Arrays.fill(isPrime, true);
isPrime[0] = false;
isPrime[1] = false;
for (int i = 2; i * i<= B; i++) {
if(!isPrime[i]) continue;
for (int j = i*i; j <= B ; j += i) {
isPrime[j] = false;
}
}
for (int i = A; i <=B ; i++) {
if(isPrime[i] && hasD(i)){
cnt++;
}
}
System.out.println(cnt);
}
private static boolean hasD(int i) {
while (i > 0){
int n = i % 10;
if(n == D){
return true;
}
i /= 10;
}
return fals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