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를 기반으로 한 웹 프레임워크로, Java 프로그램을 보다 쉽고 빠르게 만들기 위한 도구이다.
다음은 Spring Boot 개발환경을 만드는 과정이다.
JDK 설치
Java 코드의 번역과 실행을 담당하는 Java 개발 도구이다.
https://adoptopenjdk.net/ 에 접속하여 OpenJDK 8 (LTS)을 클릭하여 os 환경에 맞춰 다운로드 받는다.
Intellij IDEA 설치
개발 생산성을 높여주는 도구들, 즉 이클립스와 같은 도구이다.
1) https://www.jetbrains.com/ko-kr/idea/ 에 접속하여 다운로드 클릭
2) os 환경에 맞춰 Community 버전을 다운로드한다.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
https://start.spring.io/ 에서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처음 화면 왼쪽의 설정 부분을 위처럼 설정해준다. 여기서 Artifact는 프로젝트명이다.
오른쪽 부분의 Dependencies는 Spring Boot에 필요한 여러가지 도구들을 가져온다. 현재는 다음과 같은 도구들을 가져오도록 하자.
✔ Spring Boot로 웹 프로젝트를 만들기 위한 Spring Web
✔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H2 database
✔ 화면을 만들기 위한 mustache
✔ 데이터베이스를 조금 더 편리하게 다룰 수 있게 해주는 JPA
위의 과정들을 모두 설정했다면 맨 아래의 GENERATE를 클릭하여 프로젝트를 다운받는다.
다운받은 프로젝트를 원하는 위치에 압축 풀기를 진행한다.
IDEA를 실행시켜 해당 프로젝트를 open한다.
project1Application을 초록색 재생 버튼을 클릭하여 실행하면 위의 그림처럼 결과가 나온다.
(프로젝트명 project1로 수정.)
이제 웹 페이지에 Hello world를 띄워보자.
프로젝트 -> src -> New -> HTML File을 눌러 hello.html 파일을 생성한다.
"Hello World" 작성 후 서버를 재시작한다.
http://localhost:8080/hello.html에 접속하여 잘 나타나는 지 확인한다.
"Hello World"는 Client와 Web Server의 요청과 응답의 결과물이다. 브라우저가 Client로서 동작하고, Spring Boot는 Server로서 동작을 한 것이다. 즉, Server가 되는 Spring Boot를 실행시켜야 브라우저에 접근이 가능하다.
우리는 주로 자신이 만든 웹 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해 주소창에 localhost:8080/...를 입력한다. 그렇다면 localhost란 무엇일까? 말그대로 내 컴퓨터 주소를 의미한다. 이때 port 번호 8080은 하나의 방으로 생각하자. 한마디로 내 컴퓨터의, 즉 우리집(localhost)의 8080번 방에서 Spring Boot(server)가 작동하는 것이다.
localhost:8080/hello.html
위는 내 컴퓨터의 8080 port에서 실행되고 있는 server에게 "hello.html" 파일을 요청한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파일명을 직접 명시했을 때, 기본적으로 Spring Boot는 src -> main -> resources 아래 있는 static 폴더에서 해당 파일을 찾아 그 파일의 코드 결과 를 응답으로 던져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