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세스는 실행되고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이다.
각 프로세스는 프로세스 ID (PID)라고 불리는 고유한 번호로 식별된다.
운영 체제는 PID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추적한다.
PID는 시스템에서 생성될 때 각 프로세스에 자동으로 할당된다.
ps는 Process Status의 약자로,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ps [option]
옵션을 줌으로써 어떤 프로세스를 출력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출력할 것인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ex) ps -a, ps -ef 등...
top는 CPU와 메모리 사용량을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top
top 명령어를 입력하면 상단에 요약 영역과 하단에 디테일 영역으로 나누어 진다.
Tasks : 현재 프로세스들의 상태를 출력하며 전체 프로세스, 실행중인 프로세스, 대기상태인 프로세스, 종료된 프로세스, 좀비상태인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CPU(s) : CPU가 어느 영역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한 사용률을 출력한다.
KiB Mem : RAM의 메모리 영역을 출력한다.
KiB Swap : Swap의 메모리 영역을 출력한다.
PID : 프로세스 식별자
USER : 해당 프로세스를 실행한 유저의 이름
PR : 커널에 의해서 스케쥴링되는 우선순위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당 툴은 기본적으로 커널에 내장되어 있는 명령어이나, 주로 htop 이라는
별도의 CLI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활용한다.
(top보다 UI 개선)
List Open Files의 약자로 프로세스스가 열려있는 파일을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일반적인 파일뿐만 아니라 네트워크 소켓, 디바이스 드라이버, 프로세스 정보도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