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고리즘 자체는 쉽게 생각했는데 문자열 다루는 거 때문에 골머리를 앓았다😇처음에는 각 리스트 원소를 이진수로 변환하고 OR 연산을 하자고 생각했는데 이거 필요없음. 그냥 바로 OR 연산 들어가면 된다.각 리스트의 원소끼리 OR 연산한 리스트 추출이 리스트를 이진수 형
주어진 리스트 -> 조합각 조합의 합 -> 리스트화2번의 리스트 -> set으로 중복제거 하고다시 리스트화해서 sorting
처음에 길게길게 짠 코드가 30점 떠서 찾아보니까 내장함수가 있더군요😇(심한 욕몇줄 안되는 거 바로 코드로 가시죠.✅ 유용한 내장함수divmod(n, r) : n을 r로 나눈 몫과 나머지 returnint(num, n) : n진수를 10진수로 변환
개인적으로 이 문제는 문제 정리부터 확실히 하고 넘어가야 했던 어려운 문제다,,! 전에 C++로 푼 85점의 전적이 있더라😇Counter로 stages의 개수 통계 내고stage 1~N 순회하면서 각 stage 실패율 계산하기실패율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
(중간 예시는 짤랐습니다)주어진 리스트에서 조합 구하기각 조합 Counter 구해서 key 개수 저장가장 큰 key 개수 반환이렇게 하니 아무래도 조합 계산 시 O(n!) 시간복잡도 때문인지 70점은 시간초과로 날라가길래 다른 방식으로 접근했다.주어진 list를 set
이 문제 어디서 봤나 했더니 내가 2021 카카오 채용연계형 인턴십 코테를 봤었다ㅋㅋㅋㅋ 다만 그땐 C++로 풀었고 이번에 파이썬으로 처음 풀어보는 것..✨한 문자씩 읽으면서: 그 글자가 숫자일 때 ➡️ 정답 숫자 스트링에 추가그 글자가 문자일 때 ➡️ 임시 스트링에
단순하게 생각한 그 접근방식이 정답이였음👀 수월하게 풀었던 거 같다.1\. 최저 일치 수 = 0을 제외한 숫자 중 lottos와 win_nums의 교집합2\. 최고 일치 수 = 최저 일치 수 + 0의 개수풀면서 새로 알아간 거: switch 대신 dictionary를
📌 제한 사항이 중요한 문제였다. 이걸 놓치면 코드를 깨작깨작 고쳐봐도 4-50점의 행방 날라감🕊메인 로직 자체는 간단하다. reserve 리스트를 순회하면서 해당 요소의 -1/+1에 해당하는 값이 lost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체크하고 해당 요소를 제거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