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상앞에 절대적으로 앉아 있는 시간과 배움의 양은 direct relationship. 충분히 책상앞에서 버티는 시간을 최대로 끌어 올렸다면 더나은 학습법으로 가기 위한 단계는 효율성(몰입도). 지금 나는 잠을 2-4시간 자면서 낮에 병든 닭마냥 잠깐 집중을 하려고 해도 뇌에서 사고능력을 멈춰 의식이 계속 날아가 버린다(무한루프). 낮에 공부하는데 지장이 없는 최소 수면시간을 찾는게 지금 내가 해야될 다음 단계이다. 공부에 집중을 하지 못한 부분이 아쉽고 스스로 화가나지만 시행착오를 겪는 과정이라고 생각하자
FAP:주말에 여태껏 수면부족으로 밀린 잠을 충분히 보충하고 주단위로 5-8시간사이를 이분탐색으로 나에게 맞는 최적의 수면 시간을 찾아보기
강의 내용의 코드를 급급하게 그대로 따라 쓰는 것은 내게 비효율 적이다. 마치 학교에서 선생님이 칠판에 적는 것을 이해가 되지 않더라도 무지성으로 배끼는 인간프린터같음. 기본 주차때 크루원의 도움을 받았을때와 강의를 들었을때 이해도의 차이가 왜 크게 나는지 분석해서 공부법에 적용해보자.
1:48
숙면
4:20
주특기 기본주차 기간동안 공부 전략 분석(6월25일 금요일 - 7월 1일 목요일)
5:20
샤때
7:00
사고를 시작하려고하면 뇌가 꺼짐 뇌에 배터리 충전 필요
진영님 자리 비워두기
7:40
크루원과 개발공부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들 소통
8:15
소통
9:00
발제
9: 25
새팀원과 학습방법 공유,
9:41
break
9:48
주특기 심화 어떻게 공부 할것인지 다시 한번 점검
10:00
크루원과 소통
10:31
3조 항해톡 강의 보기(미드웨어란)
10:40
Node.js 심화반 1주차
지식 수준 맞추기
10:56
take a nap
11:06
Node.js 심화반 1주차
졸려서 흐름 끊김
12:06
break
12:10
Node.js 심화반 1주차
졸려서 흐름 끊김
12:18
점심
1:00
다면 평가
1:18
Node.js 심화반 1주차
졸려서 느림
1:45
break
1:51
Node.js 심화반 1주차
2:00
take a nap(20분)
2:20
Node.js 심화반 1주차 1-5
2:27
break
2:31
npm i mongoose -S (S는 왜 붙임?)
2:56
break
3:00
튜터님 일상 공유
이직할때 연봉협상?
3:47
break
4:00
팀원 중간점검
4:07
Node.js 심화반 1주차 1-6
4:30
take a nap
4:35
이어폰 고장해결
4:41
Node.js 심화반 1주차 1-7
4:59
break
5:04
Node.js 심화반 1주차 1-7
5:13
아 왜이리 졸리지...
잠 6시간 자면 낮에 하나도 안졸리려나
5:20
Node.js 심화반 1주차 1-7\
5:30
졸아버림
5:37
수면부족 집중 못하고 계속 졸아버려서 악순환 반복 오늘은 일 못끝내도 정상루틴으로 돌아가기 위해서 충분히 자기 오늘만 10시간 자도 됨
6:13
break
6:16
강의
7:00
저녁
7:43
강의 보고 구현한다음 답체크식으로 ㄱㄱ
8:00
항해 운영진분들과 항해원들 오프라인 소통
11:30
정리하고 집 ㄱㄱ
12:20
숙면
1:15
빨래 걸기
1:30
TIL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