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성능최적화] 1. Web Vital?

Wendy·2022년 11월 7일
0

학습기록

목록 보기
19/20

웹성능 최적화 스터디를 위해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

1. 성능 측정

대표적으로 두가지
1. Web Vitals -> 실제 유저들의 접속 데이터
2. Light House -> 실험 데이터

https://fs.hubspotusercontent00.net/hubfs/4790854/CWV%20vs%20Lighthouse%20Infographic/CWV%20vs%20Lighthouse%20Infographic.pdf

web-vitals가 구글에서 수집한 실제 접속 결과의 75퍼센트를 기준으로 판단한 결과라고 한다면,
light house는 개발자가 직접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라고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1. (Core) Web Vitals

https://web.dev/vitals/
https://web.dev/defining-core-web-vitals-thresholds/

구글이 제시하는 웹 품질 평가 지표이다.
web vitals에서 가장 중요하게 지켜야 하는 3가지를 묶어 Core Web Vitals 라고 한다.
이 점수가 잘 나와야 구글 검색 결과에서 유리하다.

사이트의 전반적인 성능을 분류하기 위해 해당 페이지 또는 사이트에 대한 모든 방문의 75번째 백분위수 값을 사용한다.

Largest Contentful Paint(최대 콘텐츠풀 페인트, LCP)

https://web.dev/lcp/
https://web.dev/optimize-lcp/ (최적화)
측정: 로딩 성능
평가: good < 2.5s / poor > 4.0s

  • 페이지가 처음으로 로드를 시작한 시점을 기준으로 뷰포트 내에 있는 가장 큰 이미지 또는 텍스트 블록의 렌더링 시간
  • 고려대상 : img, svg 내부의 image, video, url을 통해 로드된 배경이미지, 텍스트노드, 텍스트 하위 요소를 포함하는 블록
  • 이미지라면 min(가시적크기, 기본크기), 텍스트라면 모든 텍스트 노드를 포함하는 가장 작은 직사각형
  • 현재 최대 콘텐츠풀 요소가 뷰포트에서 제거(또는 DOM에서 제거)되더라도 이보다 더 큰 요소가 렌더링되지 않는 이상, 해당 요소가 최대 콘텐츠풀 요소로 유지
  • 새 성능 항목을 계산하고 디스패치하는 성능 오버헤드를 낮게 유지하기 위해 요소의 크기나 위치를 변경해도 새 LCP 후보가 생성되지 않으며 오직 뷰포트에서 요소의 처음 크기와 위치만 고려

개선안

  • 느린 서버응답 -> 서버최적화, CDN 사용, 캐시 사용, link 연결시 우선순위 조정
  • 렌더링을 차단하는 JS/CSS 최적화
  • 느린 리소스 로드 시간 -> 이미지 최적화, 중요한 리소스 우선 로드, 파일 압축,
    환경(네트워크, 장치) 기반으로 컨텐츠 제공
  • 클라이언트 측 렌더링 -> 서버 사이드 렌더링 활용

First Input Delay(최초 입력 지연, FID) (lighthouse 에서는 TBT 사용)

https://web.dev/fid/
https://web.dev/optimize-fid/ (최적화)

측정: 상호 작용
평가: good < 100ms / poor > 300ms

  • 일반적으로 입력 지연(입력 대기 시간이라고도 함)은 브라우저의 메인 스레드가 다른 작업을 하고 있어 사용자에게 아직은 응답할 수 없기 때문에 발생
  • 이벤트 처리에서 "지연" 부분만 측정하며 이벤트 처리 시간 자체나 브라우저에서 이벤트 핸들러를 실행한 후 UI를 업데이트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측정하지 않음
  • 페이지에서 일부 콘텐츠를 렌더링했지만 아직 안정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일반적으로 긴 최초 입력 지연은 First Contentful Paint(최초 콘텐츠풀 페인트, FCP)와 Time to Interactive(상호 작용까지의 시간, TTI, 5초 이상의 idle time) 사이에 발생
  • FID 개선 지침은 총 차단 시간(TBT)을 개선하는 지침과 동일
  • 열악한 FID의 주요 원인은 과도한 JavaScript 실행

개선안

  • 긴 작업(50ms 초과) 세분화
  • 클라이언트 측에서 후처리해야 하는 데이터의 양을 최소화
  • 타사 스크립트(광고 등)의 우선순위 조정
  • 가능한 부분에서 메인스레드 대신 웹워커 활용
  • js 최적화
  • 개발자도구 Performance > Timing 섹션의 LCP 마커를 참고해 테스트 가능

Cumulative Layout Shift(누적 레이아웃 시프트, CLS):

https://web.dev/cls/
https://web.dev/optimize-cls/ (최적화)

측정: 시각적 안정성
평가: good < 0.1 / poor > 0.25

  • 페이지의 전체 수명 동안 발생하는 모든 예기치 않은 레이아웃 이동에 대해 가장 큰 레이아웃 이동 점수 버스트
  • 세션 기간으로 알려진 레이아웃 이동 버스트는 하나 이상의 개별 레이아웃 이동이 빠르게 연속해서 이루어지는 경우를 뜻합니다. 이때 각 레이아웃 사이 간격은 1초 미만이며, 총 기간은 최대 5초입니다.
    가장 큰 버스트는 해당 기간 내 모든 레이아웃 이동에 대해 누적 점수가 최대인 세션 기간입니다
  • 레이아웃 이동은 기존 요소가 시작 위치를 변경할 때만 발생. 신규 항목의 등장만으로는 문제가 없고, 신규 항목의 등장으로 기존 요소의 위치가 변경되면 문제가 됨
  • 예상된 이동은 계산 제외 (사용자 입력 후 500밀리초 이내에 발생하는 레이아웃 이동)

계산 방식

  • 점수 = impact fraction (영향분율) * distance fraction (이동분율)
  • 영향분율: (이동 전 + 이동 후 - 중복) /전체 영역
  • 이동분율: max(수평이동거리, 수직이동거리) / 프레임

개선안:

  • 이미지, 영상, iframe, 광고 등의 자리에 크기(비율) 지정 (혹은 저화질/배경색/스켈레톤 사용)
  • 폰트 최적화

2.Light House

https://web.dev/lighthouse-performance/

여러가지 환경을 가정하여(장비, 네트워크 등) 여러가지 주제에 대해 (성능, 접근성 등) 여러 상태를 테스트 해 볼수 있음(페이지의 로드, 화면의 변화나 인터렉션 속도 등)

각 카테고리에 대한 매트릭스로 점수 산정

항목

Mode

(https://github.com/GoogleChrome/lighthouse/blob/HEAD/docs/user-flows.md)

  • Navigation - 단일 페이지 로드 테스트. v9.6 이전에는 이 옵션만 있었고, 지금도 디폴트
  • Timespan - 시간을 주고 화면의 변화, 인터렉션등을 발생시켜 테스트
  • Snapshot - 특정 상태의 화면을 테스트

Device

device / mobile

Category

1) Performance : 얼마나 빠르게 컨텐츠에 접근 가능한가

  • Largest Contentful Paint (LCP, core web vitals에 포함)

  • Cumulative Layout Shift (CLS, core web vitals에 포함)

  • Total Blocking Time (TBT - 총 차단 시간, core web vitals의 FID를 대체):
    TTI에 도달하기 전, 상호작용이 불가능했을때의 심각함을 수량화. Long Task 각각에서 50ms 를 초과하는 양들의 합산.
    green - 300ms 이내

  • Time to Interactive (TTI - 상호작용까지의 시간):
    5초 이상의 quite window(get요청 2개미만, 5초이상의 long task 없는 구간) 직전, 마지막 Long Task가 마무리 된 시간 - 사용자와 상호작용이 이제 제대로 가능하다고 판단
    green - 3.8초 이내

  • First Contentful Paint (FCP - 첫번째 컨텐츠가 보여지는 시간):
    페이지가 로드되기 시작한 시점부터 페이지 컨텐츠의 일부가 화면에 렌더링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green - 2초 이내

  • Speed Index (SI - 대부분의 컨텐츠가 채워지는 시간):
    모두 채워지는데 똑같이 5초가 걸렸다고 해도, 마지막에 모든게 한번에 나타나는것보다, 대부분이 우선적으로 채워지는게 유리. (큰 영역을 차지하는 텍스트를 먼저 띄우고, 오래걸리는 이미지 등을 lazy load 등으로 마지막에 불러오는 등으로 점수를 높일 수 있음)
    green - 4.3초 이내

2) Accessibility: 접근성 검사
https://web.dev/accessible/

3) Best Practicies: 보안 및 모던 표준 개발 관점의 16가지 평가
https://web.dev/lighthouse-best-practices/

4) SEO
https://web.dev/lighthouse-seo/

5) PWA(Progressive Web App)
https://web.dev/lighthouse-pwa/

분석 결과

  1. Metrics - 점수를 결정하는 검사 지표
  2. 스크린샷 - 페이지가 로드되는 흐름
  3. OPPORTUNITIES(기회) - 리소스 관점 (로딩성능 최적화)
  4. DIAGNOSTICS(진단) - 페이지 실행 관점 (렌더링 최적화)
  5. passed audits - 통과한 항목
  6. Runtime setting - 검사할때 사용된 환경 요약

3. 다음시간에

최적화의 방법들
우리 사이트 평가 및 업그레이드
web-vitals를 측정하는 git 자동화

profile
개발 공부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