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가 원하는 정보 자원을 찾기 위해서 해당 정보 자원의 위치와 종류를 파악할때 사용하는 규칙이며, 네트워크 상에 퍼져 있는 특정 정보 자원의 종류와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
Uniform Resource Locator약자이다.
"http://www.google.com:80/search?q=JavaScript"
http:// -> scheme
www.google.com:80 -> hosts
/search ->url-path
여기부턴 URI
?q=javaScrip -> query
scheme : 프로토콜
hosts : 웹서버 이름이나 도메인,ip를 사용하며 주소를 나타낸다.
url-path : 웹 서버에서 지정한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해 이미지,동영상,웹 페이지 등이 위치한 경로와 파일명을 나타낸다.
query : 웹 서버에 보내는 추가적인 질문
->검색창에 구글에서 javascript 검색한것이다.
-추가
URI : URL에 query,bookmark를 포함한것이다. URI는 URL을 포함하는 상위개념이다.
:80,:443,:3000 -> port, 웹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통로
우리가 사이트 웹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하고 접속을 할때 만약 www.naver.com 를 접속을 하면 실제 naver.com 서버는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로 통신하지만, 우린 사용하기 쉬운 도메인으로 쓰기 때문에 도메인을 IP주소로 변환하는 시스템이 DNS이다.
각자 registrar,registry가 있는데
registry는 도메인 관리 기관입니다. 각 도메인 정보의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이거에 따라 도메인 종류가 달라집니다.
registrar는 중개 등록 업체입니다.
gTLD는 전세계에서 등록이 가능한 .com, .net, .org, .edu, .gov, .int, .mil 이 있습니다.
ccTLD 의 경우 .kr, .us, .jp등 있습니다. 각국 네트워크 정보센터에서 위임받아 관리하며
출처 : https://incheol-jung.gitbook.io/docs/q-and-a/infra/dns
해당되는 도메인 정보를 찾을수 없는 경우 다음으로 넘어간다
이때 리졸버는 쿼리수를 줄일 목적으로 기록되지 않은 도메인 네임 서버들의 주소를 저장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