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활석 (Upstage CTO) & 박은정 (Upstage CSO) 님의 특강을 듣고

Heath_Jeong·2021년 3월 2일
0

Ustage Week6 - 특강

목록 보기
1/4
post-thumbnail

BoostCamp AI Tech 특강 내용은 기록할 수 없어 느낀점을 남깁니다.

강의 주제

서비스 향 AI 모델 개발하기 by 이활석 마스터

AI 시대의 커리어 빌딩 by 박은정 마스터


What I Felt

AI 엔지니어에 대하여

AI 로 사람들의 편의를 더해주고 싶다. 구체적으로는 AI 를 활용한 서비스를 만들어 사람들의 삶에 기여하고 싶다.
그렇기에 AI 엔지니어가 되고 싶다.

서비스 향 AI 모델 개발 vs 연구 향 AI 모델 개발

오늘 특강에서 연구를 위한 AI 모델 개발과 서비스를 위한 AI 모델 개발의 차이에 대해 말씀해주셨다.
연구를 위한 AI 모델 개발은 정해진 데이터와 정해진 평가 방법으로 더 좋은 모델을 만드는 것이 목적인 반면,
서비스를 위한 AI 모델 개발은 데이터, 평가 방법 아무 것도 정해지지 않고 오로지
해결해야 하는 문제 상황사용자 요구 사항 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목적이라는 점이 다르다.

AI 엔지니어의 역량

AI 엔지니어는 서비스를 위한 AI 모델 개발을 한다.
이 과정에는 AI 모델링 외에도 데이터 관리, 프로덕트 서빙 등의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어떠한 프로세스를 맡더라도 모델링 능력개발 능력을 갖춰야 한다.

AI 엔지니어와 대학원

사실 AI 관련 일을 하려면 대학원이 필수일거라 생각해서 캠프가 끝나면 대학원을 가야하나 고민했다.
그러나 오늘 마스터님들의 말씀을 들으니 석사까지 경험하는 것도 괜찮지만 빨리 현업에서
AI 서비스를 만들고 싶으면 실력을 키워서 들어가라 말씀해주셨다.

나에게 필요한 역량

AI 엔지니어는 AI 모델링만 하지 않는다. FE/BE, 경량화 등 다양한 부분에서 개발 실력이 필요하므로
나는 개발 실력을 키워야한다. 다만, 그냥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아닌 AI 엔지니어기 때문에
모델러가 만든 모델을 이해하기 위해 AI 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부스트캠프에서 AI 에 대한 이해, 모델링 능력을 기르고 부가적으로
알고리즘을 풀고 백엔드 등을 공부하여 개발 능력을 길러야겠다. 💪🏻

profile
데이터로 문제를 해결하는 엔지니어를 꿈꿉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