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R 플밍 - 1. 프로그램 언어 기초 (1) - Hello World와 변수(3/11)

이형원·2025년 3월 11일
0

XR플밍

목록 보기
3/215

0. 들어가기에 앞서...

프로그래밍을 어떻게 할지, 규칙을 생각해 보자.

  1. 프로그램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프로그램은 타이핑 된 코드 순서대로 작동한다. 즉 프로그래머가 실수를 하면 실수 그대로 코드가 실행된다. 코드의 진행 순서에 유의하여 작업하도록 하자.
    ex) 타겟을 선정한다 -> 선정된 타겟을 공격한다 -> 데미지를 계산한다.
  1. 코드를 작성할 때 오타가 났을 시, 컴퓨터는 그대로 오류를 표시한다. 빨간 물결줄로 오류 위치 하단에 표기되며 오류 위치(줄 번호) 또한 표기된다.

  2. 오류가 발생했을 때 오류코드를 구글링하여 찾아본다.

  3. 세미콜론(;)은 명령의 끝이다. 빠지지 않게 기입하도록 하며, 오류를 발생시킬 불필요한 공백은 입력하지 않는다.

주석

주석이란?

  1. 소스 코드에서 의도를 설명하기 위한 용도의 작성글
  2. 작성되어 있는 코드를 잠시 무시하고 기동하기 위함

표기 방법

  1. 코드 앞에 : // (code)

  2. 범위 주석 /* (code) */

    *유용하게 쓰는 단축키 기능

    • Alt 누른 채로 마우스 / Alt+Shift+화살표 : 줄 드래그
      (여러 줄 동시에 입력하고 주석 칠 때 유용)
    • 수동 들여쓰기 : Tab / 들여쓰기 만큼 칸 앞으로 이동 : Shift+Tab

코드 작성 권고사항

  • 레이아웃
    1. 문은 한 줄에 하나씩
    2. 선언은 한 줄에 하나씩
    3. 메서드 정의, 속성 정의 간에는 빈 줄 하나 이상 추가
    4. 한 줄에 여러 식이 논리 결합 되어 있을 시, 괄호로 명확히 구분
  • 주석달기
    1. 주석은 코드의 끝보다 별도의 줄로 배치
    2. 영어 주석일 경우, 첫 글자는 대문자로 시작
    3. 주석의 끝에는 마침표를 찍기
    4. 코드 설명 주석은 별표 주석 사용하지 말 것

Escape Sequence

Escape Sequence란?

문법상 쓸 수 없는 문자를 쓸 수 있게 만드는 기능

자주 사용하는 것

  • \n : 엔터
  • \" (내용) \" : '쌍따옴표'를 출력
    *이 외의 것은 외우지 말고 구글링하자

Using과 NameSpace

Using 구문

'기능의 묶음'을 선언한다.

ex) Using System

NameSpace

Using 구문으로 선언한 기능 중 사용할 기능을 서술한다.

ex) Using System으로 선언하고, System의 기능 중 Console을 사용하겠다.

자리 표시자

코드 입력시 반복 작업을 줄이기 위한 방법
ex)

Console.WriteLine("오크는/은 공격력 10을 가지고, 공격하면 오크이/가 10의 데미지를 주며, 10이 띄워집니다.");
Console.WriteLine("슬라임는/은 공격력 3을 가지고, 공격하면 슬라임이/가 3의 데미지를 주며, 3이 띄워집니다.");

이와 같은 코드를 아래와 같이 자리표시자로 간단하게 표기할 수 있다

Console.WriteLine("{0}는/은 공격력 {1}을 가지고, 공격하면 {0}이/가 {1}의 데미지를 주며, {1}이 띄워집니다.","오크",10);
Console.WriteLine("{0}는/은 공격력 {1}을 가지고, 공격하면 {0}이/가 {1}의 데미지를 주며, {1}이 띄워집니다.", "슬라임", 3);

이와 같은 방식으로, 코드 입력 시에 반복을 줄이고, 변수 변경을 용이하게 한다.

변수(Variable)

정의

  •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프로그램에 의해 이름을 할당받은 메모리 공간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하며, 저장된 값은 변경 가능

변수 선언 및 초기화

  1. 변수 선언 시 데이터의 유형을 정의한다.
    ex) int, float, char, string 등

  2. 변수에 데이터를 할당/저장(초기화)해야지만 사용할 수 있다.
    ex)

    int num = 1;
  3. 동일한 이름의 변수는 두 번 이상 사용할 수 없다
    ex)

    int num = 1;
     int num = 3; //오류남
  4.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를 하거나, 변수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할 수 있다.
    ex)

    int num = 1;

    이것과

    int num;
     num = 1;

    이것은 동일하다

변수명 규칙

  1. 변수명은 유의미한 단어를 쓰자

    ex) 공격력-attack, 방어력-defense, 속도-speed

  2. 띄어쓰기가 불가능하여, 카멜 표기법을 사용한다.

    *카멜 표기법 : 두 단어 이상으로 변수명 만들 시, 띄어쓰기 대신 단어의 시작마다 대문자로 표현

    ex) int attackDelayTime, int shootCoolTime

    *그 외 - 특수문자 사용 불가능, 숫자부터 시작 불가능

상수형

정의

  •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변경할 수 없는 데이터
  • 프로그램에서 값이 변경되기를 원하지 않는 데이터가 있을 경우 사용
  • 저장된 값은 프로그램 종료시까지 변경 불가능

선언

상수처리할 변수 앞에 'const'를 쓴다.
ex)

const int playerNum = 8;

또한, const는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를 저장해야 한다.

자료형

정의

  • 자료(데이터)의 형태를 지정
  • 데이터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형태와 처리되는 방식을 명시하기 위함
  • 0과 1만으로 구성된 컴퓨터에게 여러 형태의 자료를 저장하기 위함
자료형 이름자료형 형태메모리 크기표현 범위
bool(boolean)논리자료형1bytetrue, false
short부호 있는 정수형2byte1, -100, 362 등
int부호 있는 정수형4byte1, -100, 362 등 *short와 비교해 더 큰 범위를 다룸
float부동소수점 실수4byte0.5, 15.2524, -1414.213 등
double부동소수점 실수8byte0.5, 15.2524, -1414.213 등 *float와 비교해 더 큰 범위를 다룸
char유니코드 문자형2byte'a' , 'b', '한' 등
string유니코드 문자열-"abcde", "안녕" 등

*부동소수점 : 점의 위치가 고정적이지 않다. -> 소수점 자릿수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즉 고정소수점에 비해 실수의 표현 범위가 더 넓어지므로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유의사항

  • float 입력시 실수 뒤에 f를 필수 기입
    ex)

    float num = 3.5253f;
  • char은 따옴표, string은 쌍따옴표로 선언한다
    ex)

    char txt = '맹';
     string txt2 = "안녕하세요";
  • 문자열로 선언된 숫자는 숫자로 선언된 숫자와 다르다.
    ex)

    int num = 1;
     char word = '1'; //문자열이며 숫자로 사용 불가능
profile
게임 만들러 코딩 공부중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