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gestion Control

공부기록·2023년 10월 16일
0
post-thumbnail

Congestion Control 혼잡제어


packet switchingcircuit switching
중앙에서 경로설정하거나 모니터링을 하지 않음.중앙에서 경로를 설정하고 연결이 끝날때가지 경로를 유지한다.
성능에 관한 보장이되지않고 혼잡 발생시 delay가 발생한다.성능을 보장한다. 다만 동시이용자 많으면 보내는게 실패됨.
  • Router에서 링크가 보낼 수 있는 값이 정해져있는데 TCP의 연결 사이에서 많은 양의 데이터가 들어오면 Bottleneck 현상이 발생하여 전송이 불가해진다.

  • 100Mbps : 링크가 보낼 수 있는 maximum값
  • router에서 200Mbps가 들어오면 bottleneck 현상 발생



Load와 Delay/Throughput의 관계

  • delay - load : 가져오는 양이 많이질수록 delay가 발생한다.
  • throughput - load :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지는 순간까지는 혼잡이 발생하지않으며 throughput이 증가하지만 능력치를 벗어나면 throughput도 감소한다.



Congestion Avoidance

slow start와 addictive increase

  • 혼잡 발생시 packet loss가 일어나는데 RTT마다 전송하는 packet의 양을 점차 늘려가며 혼잡이 발생하는 threshold까지 전송하는 알고리즘이다.

Slow Start


  • 전송하는 packet의 양(cwnd)을 1에서부터 기하급수적으로 늘려서 한계점(threshold)까지 전송하는 알고리즘이다.

Addictive Increase


  • 혼잡이 발생할 때까지 전송하는 packet의 양을 점차 늘려가다 혼잡이 발생하면 보내는 양을 반으로 줄이는 알고리즘이다.



TCP Congestion Policy Summary

업로드중..

  • threshold 전까지는 Slow Start 알고리즘을 사용하다 threshold와 같아지면 그때부터는 Addictive Increase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증가시키던 중 time-out이 발생하면 cwnd값을 1로 초기화하고 threshold의 값은 time-out이 발생한 시점의 cwnd의 1/2로 재설정한다.
  • 3 ACKs가 발생하면 cwnd의 값을 현재값의 1/2로 설정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