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Model

공부기록·2023년 10월 15일
0
post-thumbnail

OSI Model

  • Application : network 자원의 접근을 허용한다.

  • Transport : process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에러를 복수한다. (port 번호)

  • Network : network를 통하여 packet을 source에서 destination까지 전달한다. (IP주소)

  • Data link : hop-to-hop 전달방식을 제공한다. (MAC주소)

  • Packet Switching Network

    • 목적지 주소 전달 방식



Data Link Layer

  • communication unit : frame
  • hop-to-hop 전달방식 : MAC주소를 이용한다.
  • router마다 새로운 header를 부여받는다.
  • physical address

Network Layer

  • communication unit : datagram
  • source to destination : IP주소가 적혀있으며 이는 도착시까지 변하지않는다.
  • Logical address

Transport Layer

  • communication unit : segment, user datagram, packet
  • process와 process간의 연결
  • port address : 16bit 이용



physical layer

  • switch가 모든 주소로 packet을 보낸후 응답받은 것을 기록해놓는다.
  • physical address는 6-byte(12 hexadecimal digits)이다.
    • 같은 이더넷에서만 중복이 허용되지 않는다.

개념정리

  • Repeater : LAN선의 길이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보내다보면 SIGNAL이 약해진다. 이때 SIGNAL을 재생산 혹은 증폭하는 장치이다.
  • HUB : 하나의 INPUT이 들어오면 여러곳에 OUTPUT을 만들어 낼 수 있다.
  • Bridge : MAC 주소를 읽으며 필터링하며 repeater와 같은 역할을 한다.
  • Switch : multi port bridge이다.



Logical Address


LAN1

  • 먼저 destination의 IP 주소를 확인한다.
    • Source IP : A (MAC 주소 : 10)
    • Destination IP : F
  • 현재 NETWORK 내에서 Destination IP와 가장 가까운 곳의 IP주소와 MAC 주소를 확인한다.
    • Next IP : F
    • 그 IP의 MAC주소 : 20
  • MAC 주소는 20 10 으로 업데이트된다 (Destination MAC & Next MAC)

LAN2

  • 라우터1를 거치며 다른 NETWORK로 이동한다.
  • 현재 MAC주소는 99
  • 다음 IP는 N이 가까우므로 N의 MAC주소는 33이다.
  • MAC 주소는 33 99 로 업데이트된다.
  • 다시 라우터2를 이용하여 다른 NETWORK로 이동한다.

LAN3

  • 현재 같은 네트워크에 있으므로 Next IP는 Destination IP와 같다.
  • Destination IP의 MAC주소는 95이다.
  • MAC 주소는 95 66 로 업데이트한 후 목적지에 도착하게된다.

✏️Physical address(MAC)는 hop-to-hop으로 계속 변하지만 Logical address(IP)는 변하지 않는다.



전체적인 과정

  • 보내는 쪽 기준
    • Transport에서 header에 port번호 (sender & receiver)를 적는다.
    • Network에서 header에 IP주소를 넣어 보낸다.
    • Data link에서는 MAC주소를 변화시키며 목적지를 찾는다.
  • 받는 쪽은 반대로 header를 확인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