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을 쓰는 이유는 두 가지다. 첫번째, 10분 달리기에 관한 효능을 기록하기 위함이다. 10분 달리기로 인해서 두뇌회전이 빨라졌고, 뭐든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붙었다. 두번째 속도에 관한 메모를 하기 위함이다. 이것은 10분 달리기로 두뇌회전이 빨라지면서 생긴 추가적인 생각이다. 4gb 밖에 안되던 RAM용량이 갑자기 16gb가 된 느낌이다. 두뇌의 처리속도가 빨라졌기 때문에 여러 작업들(여러 생각들)을 직렬로 생각해도 병렬적으로 처리되는 것처럼 느껴졌다. 놀라운건 그렇게 하더라도 오히려 처리속도가 더 빨라진 느낌이었다. 이어서 병렬적으로 피어난 여러 생각들 가운데 속도에 관한 부분이 가장 중요했기에 메모로 남기고자한다.
얼마전 유튜브에서 외국의 한 뇌 과학자가 나와서 10분 달리기에 관한 효능을 설명해준 쇼츠를 본적이 있다. 내용을 요약하자면 이렇다. 두뇌회전을 높이고, 모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선 고강도의 운동을 오랜시간 할 필요가 없고 딱 10분만 필요할 때 달리면 된다는 것이었다. 하루에 두번이나 세번 정도 숨이 찰 정도의 달리기를 10분만 하면 된다는 것이다. 나는 운동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적당한 운동은 성인병을 예방해주며 노화도 늦추고, 삶의 활력을 가져다준다. 몸을 매력적으로 만들어주는건 덤이다. 적당한 운동이 삶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모두가 아는 사실이다. 하지만 운동을 하기 위해선 헬스장까지 가야했다. 운동을 가기 위한 준비부터 집에 와서 모든 활동을 마치는데 까지 적게는 한 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의 시간이 필요했다. 그래서 시간이 아까운 날에는 운동을 가지 않고 집에서 턱걸이나 푸쉬업만 조금하고 말았다. 그런데 현재
현재 내가 원하는 것은 운동을 통해 두뇌회전과 사회지능을 높이는 것이었다. 이 결과를 얻기 위해서 적은 시간으로 높은 목표치를 달성해야했다. 그래서 좀 전에 10분 숨이 찰 정도로 뛰어봤고, 즉각적으로 효과를 경험했다. 물론 근육의 사이즈를 키우는 보디빌딩 관점에서는 적합하진 않지만, 두뇌회전과 사회지능을 높이는데엔 10분 달리기가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었다.
속도. 속도가 중요하다. 자기 계발서를 20권 정도 연속으로 읽었던 기억이 떠오른다. 그 중 대부분의 책에서 실행력에 관한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속도에 관해서도 이야기를 했다. 한 저자의 이야기를 예로 들면 이렇다. a라는 자기개발서의 저자가 세미나 혹은 컨퍼런스에 참석해서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 현재 하고 있는 일을 물었더니 새로운 온라인 판매 사업을 준비중이라고 했다. 그래서 현재 어느정도 진행중인지 물었고, 서비스를 오픈할 계획같은걸 물었다. 그는 아직 준비중이고, 완벽하게 완성하기 까진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했다. 그가 준비하는 것들을 차분히 들어보니 매우 느린 속도로 진행이 되고 있었다. 그는 "이거는 유료 서비스라서 하지 못했고 저건 아직 기술적으로 잘 알기 못했기에 진행하지 못했어요" 라고 답했다. 본인의 서비스를 팔기 위해선 웹 사이트도 필요했지만 그는 몇 개월째 웹 사이트도 하나 만들지 못했다. 스스로 만들지 못하면 다른 무료 서비스의 도움을 받아서라도 웹사이트를 만들 수도 있었지만(비록 조잡하더라도) 그는 무언가 준비가 안되었다면서 아무런 결과를 내지 못하고 있었다. 나도 요즘 이 남자와 비슷하게 느꼈다. 완벽하게 준비가 되고서 시작을 하려고 한다. 완벽한 준비란 없다. 그냥 끼어들어야 한다. 일단 시작하고 순간 순간 필요한 기술들을 배우고 써먹어야 한다. 하이브리드 앱을 만든다는 목표를 잡았으면 그것에 꼭지점을 찍고 컴퍼스로 원을 그은 다음 꼭 필요한 기술들먼저 습득해서 적용한다. react-native가 필요하다. react-native를 사용하기 위해선 react를 알아야한다. react를 사용하기 위해선 html,css,js 가 필요하다. 네트워크, 운영체제 이런것들은 그 다음일이다. 지금 당장은 필요하진 않다. 목표를 가장 빠르게 달성하기 위해선 일단 시작해야한다. 미적거리지 말고 최대한 빨리. 근데 이미 html,css,js, react, 네트워크까지 학습했고 개발하고 있는 단계다; 좀 더 빨리 알았으면 좋았겠지만 어쩔 수 없다. 앞으로 어떤 task가 다가오던 이 방식으로 처리하면 된다.
이 주장을 뒷받침 할 만한 논문과 연구 결과들은 추후에 업데이트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