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amofire를 이용하여 response함수에 대한 여러가지 결과에 대한 값을 콘솔창에 찍어보는 공부를 하던 와중에 debugPrint라는것을 보게되었다
기존에는 항상 print문을 이용하여 로그문을 찍어보는 역할을 하게되었는데 이 debugPrint는 무엇이며 서칭을 하던 와중에 dump라는것도 추가적으로 알아보자
-> 그냥 말 그대로 terminator 혹은 seperator 인자를 추가하여 콘솔창에 찍어줄 수 있는 출력함수
-> print문과 크게 다를게 없으나 애플에서는 디버그용도로 print문보다는 debugPrint를 추천해준다고한다
//사실 print문과 debugPrint문 둘 다 기본 타입이든 인스턴스를 출력시킬때 둘의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었다 (문자열같은 경우에는 print문은 안녕하세요라고 출력되었다면 debugPrint문은 "안녕하세요"라고 출력되는 차이정도??)
//하지만 구글에 이에 대한 정보를 찾던 와중에 print문은 CustomStringConvertible에 친화적, debugPrint문은 CustomDebugStringConvervible에 친화적이다라는 사실을 알게되었고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다시피 해당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각각의 문자열만을 출력시키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
//dump문은 보통 객체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할때 사용하는 출력함수라한다
//위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print문과 debugPrint문 둘다 객체에 대한 값만을 출력시킨다면 dump문은 size객체에 대한 인자값까지 이쁘게 정리되서 나오는것을 확인해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