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dis는 인메모리 기반의 빠른 Key-Value 저장소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자주 사용하는 Redis 명령어들을 정리하고,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실습 예시와 함께 소개하겠습니다.
Redis 서버에 인증이 필요한 경우, 다음 명령어로 접근합니다.
AUTH 비밀번호
예:
AUTH *N2vya7H@muDTwdNMR!
✅ 인증에 성공하면
"OK"응답을 받습니다.
❌ 실패하면ERR invalid password오류 발생!
Redis는 기본적으로 1번부터 15번까지 총 15개의 DB를 제공합니다.
특정 DB를 사용하려면 다음 명령어로 선택합니다:
select DB번호
예:
select 1
선택된 DB에 저장된 모든 키-값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습니다.
flushdb
⚠️ 복구 불가이므로 실사용 환경에서 조심히 사용하세요!
현재 선택된 DB에 존재하는 모든 키 목록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keys *
예:
1) "user:1234"
2) "session:abcd"
3) "bookCarts:a1d72edf-5d7a-4bef-8ae0-d86c2da2a645"
일반적인 string 타입의 값을 조회할 때 사용합니다.
get key이름
예:
get user:1234
Redis의 Hash 타입은 Map 구조와 유사합니다.
전체 필드-값 쌍을 조회할 때는 hgetall을 사용합니다:
hgetall key이름
예:
hgetall bookCarts:a1d72edf-5d7a-4bef-8ae0-d86c2da2a645
출력 예시:
1) "bookId"
2) "101"
3) "quantity"
4) "2"
Redis의 현재 메모리 사용량 등 정보를 확인하고 싶다면:
info memory
출력 예시:
used_memory_human:1.23M
used_memory_peak_human:2.45M
used_memory_human항목으로 현재 Redis가 사용하는 메모리량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명령어 | 설명 |
|---|---|
AUTH | 인증 비밀번호 입력 |
select | DB 선택 (1~15) |
flushdb | 현재 DB의 모든 데이터 삭제 |
keys * | 현재 DB의 모든 키 조회 |
get key | String 타입 키의 값 조회 |
hgetall key | Hash 타입 전체 조회 |
info memory | 메모리 정보 확인 |
Redis는 단순한 구조이지만, 빠르고 강력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기본 명령어에 익숙해지면 캐시, 세션, 실시간 데이터 처리 등에 더욱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