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노이 탑(Tower of Hanoi)은 퍼즐의 일종입니다. 세 개의 기둥과 이 기동에 꽂을 수 있는 크기가 다양한 원판들이 있고, 퍼즐을 시작하기 전에는 한 기둥에 원판들이 작은 것이 위에 있도록 순서대로 쌓여 있습니다. 게임의 목적은 다음 두 가지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한 기둥에 꽂힌 원판들을 그 순서 그대로 다른 기둥으로 옮겨서 다시 쌓는 것입니다.
하노이 탑의 세 개의 기둥을 왼쪽 부터 1번, 2번, 3번이라고 하겠습니다. 1번에는 n개의 원판이 있고 이 n개의 원판을 3번 원판으로 최소 횟수로 옮기려고 합니다.
1번 기둥에 있는 원판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n개의 원판을 3번 원판으로 최소로 옮기는 방법을 return하는 solution를 완성해주세요.
[ [1,2], [1,3], [2,3] ]
시간내에 못 풀었다. 🙃
질문하기에서 힌트를 봄
다른 사람이 올려놓은 예시
1
[1,3]
2
[1, 2],
[1, 3], [2, 3]
3
[1, 3],
[1, 2], [3, 2],
[1, 3], [2, 1], [2, 3], [1, 3]
4
[1, 2],
[1, 3], [2, 3],
[1, 2], [3, 1], [3, 2], [1, 2],
[1, 3], [2, 3], [2, 1], [3, 1], [2, 3], [1, 2], [1, 3], [2, 3]
5
[1, 3],
[1, 2], [3, 2],
[1, 3], [2, 1], [2, 3], [1, 3],
[1, 2], [3, 2], [3, 1], [2, 1], [3, 2], [1, 3], [1, 2], [3, 2],
[1, 3], [2, 1], [2, 3], [1, 3], [2, 1], [3, 2], [3, 1], [2, 1], [2, 3], [1, 3], [1, 2], [3, 2], [1, 3], [2, 1], [2, 3], [1, 3]
6
[1, 2],
[1, 3], [2, 3],
[1, 2], [3, 1], [3, 2], [1, 2],
[1, 3], [2, 3], [2, 1], [3, 1], [2, 3], [1, 2], [1, 3], [2, 3],
[1, 2], [3, 1], [3, 2], [1, 2], [3, 1], [2, 3], [2, 1], [3, 1], [3, 2], [1, 2], [1, 3], [2, 3], [1, 2], [3, 1], [3, 2], [1, 2],
[1, 3], [2, 3], [2, 1], [3, 1], [2, 3], [1, 2], [1, 3], [2, 3], [2, 1], [3, 1], [3, 2], [1, 2], [3, 1], [2, 3], [2, 1], [3, 1], [2, 3], [1, 2], [1, 3], [2, 3], [1, 2], [3, 1], [3, 2], [1, 2], [1, 3], [2, 3], [2, 1], [3, 1], [2, 3], [1, 2], [1, 3], [2, 3]
반복되는 패턴이 보이긴 하는데 이걸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어려움
적용될 조건도 확인
처음 원판을 옮길 때 원판의 개수가 홀수라면 목표 기둥의 반대 기둥(2번 기둥), 짝수라면 목표 기둥(3번 기둥) 으로 옮겨야 한다.
원판을 옮겼을 때 그 다음 행동은 원판이 옮겨진 기둥을 제외한 행동이다.
ex) 1에서 3으로 옮겼으면 1번 기둥이나 2번 기둥에서 옮겨야 한다.
원판을 옮길 때 이전에 위치한 기둥이 아닌 다른 기둥으로 옮겨야 한다.
ex) 1에서 3으로 옮긴 원판은 다음에 옮길 땐 2번 기둥으로 옮겨야 한다.
대가리 깨지기 전에 그냥 공유된 풀이를 확인함
def solution(n):
def hanoi(start, target, temp, N):
if N == 1:
return [[start, target]]
return hanoi(start, temp, target, N-1) + [[start, target]] + hanoi(temp, target, start, N-1)
return hanoi(1, 3, 2, n)
hanoi(시작 위치, 도착 위치, 그 외 위치, 원판 개수)
n =1 일 때는 이동이 없으므로 바로 위치를 반환, 1 이상일 경우 재귀함수를 돈다
def solution(n):
def hanoi(start, target, temp, N):
if N == 1:
return [[start, target]]
return hanoi(start, temp, target, N-1) + [[start, target]] + hanoi(temp, target, start, N-1)
return hanoi(1, 3, 2, n)
예시
# n=2
def hanoi(1, 3, 2, 2):
...
return *hanoi(1, 2, 3, 1) + [[1, 3]] + **hanoi(2, 3, 1, 1)
* def hanoi(1, 2, 3, 1):
if N == 1:
return [[1, 2]]
# *[[1, 2]] + [[1, 3]] + **hanoi(2, 3, 1, 1)
** def hanoi(2, 3, 1, 1):
if N == 1:
return [[2, 3]]
# *[[1, 2]] + [[1, 3]] + **[[2, 3]]
결과
[[1,2], [1,3], [2,3]]
이렇게하면 답이 나오는 건 알겠는데 왜 나오는지 이해가 잘 안된다.
n=4 일때의 예시를 보자
hanoi(1, 3, 2, 4)
큰 원판이 움직였다면 그보다 한단계 작은 원판은 시작위치에서 큰 원판과 다른 자리(그외위치)로 이동하고 그리고 그 다음 이동은 그외위치에서 도착위치가 될 것이다.
그리고 각 이동이 있기 전에 더 작은 원판이 있었다면 그 원판도 마찬가지로 이동했을 것이다.
이것을 원판 개수만큼 반복하는 것 ...
인 듯 하다.
아닐 시 님 말이 맞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