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언트가 애플리케이션 서버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조회하면, 서버는 다음 과정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한다.커넥션 연결: 주로 TCP/IP를 사용해서 커넥션을 연결한다.SQL 전달: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커넥션을 통해 SQL을 DB에 전달한다. 결과 응답: D
스프링부트 등장 이전에는 다음과 같이 데이터소스와 트랜잭션 매니저를 개발자가 직접 스프링 빈으로 등록해야 했다. 스프링부트는 이런 부분을 자동화하여 application.properties 설정 정보를 참고하여 데이터소스와 트랜잭션 매니저를 자동 등록해준다. 스프링부트
1. 트랜잭션 데이터를 저장할 때 단순 파일이 아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표적인 이유로 데이터베이스가 트랜잭션이라는 개념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트랜잭션은 하나의 거래를 안전하게 처리하도록 보장해준다. 예를 들어 A의 5000원을 B에게 계좌이체
예외 발생시 스프링 트랜잭션 AOP는 예외 종류에 따라 트랜잭션을 커밋하거나 롤백한다. 체크 예외(Exception) 발생 -> 커밋언체크 예외(RuntimeException, Error) 발생 -> 롤백그렇다면 스프링은 왜 체크 예외는 커밋하고 언체크 예외는 롤백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