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렌더링 속도 최적화 방법

승민·2025년 5월 1일
0

면접 대비

목록 보기
25/31

크게 네 가지의 방법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1. 이미지 포맷 최적화

설명: JPEG, PNG 대신 WebP나 AVIF와 같은 최신 포맷 사용. 품질 유지하며 파일 크기 감소.
장점: 압축 효율 높아 로딩 속도 개선.
단점: 구형 브라우저 호환성 문제(예: WebP는 IE 미지원). 해결 방법
구현: <picture> 태그로 대체 포맷 제공(예: WebP → JPEG).

2. 이미지 사이즈 조정

설명: 화면 크기에 맞게 이미지 리사이징 및 Responsive Images 활용(srcset, sizes 속성).
장점: 불필요한 대용량 이미지 로드 방지, 디바이스별 최적화.
단점: 서버 측에서 다양한 크기 준비 필요.
구현: <img srcset="small.jpg 480w, large.jpg 1200w" sizes="(max-width: 600px) 480px, 1200px">

3. 지연 로딩 (Lazy Loading)

설명: 뷰포트에 들어오는 이미지만 로드하도록 설정.
장점: 초기 로딩 시간 단축, 대역폭 절약.
단점: 스크롤 동작에 의존, SEO에 약간 영향 가능.
구현: <img loading="lazy"> 또는 Intersection Observer API.
면접 포인트: "loading='lazy'는 네이티브로 지연 로딩을 지원하며, 초기 페이지 로드 성능을 크게 개선."

4. CDN (Content Delivery Network)

설명: 지리적으로 가까운 서버에서 이미지를 제공해 전송 속도 단축.
장점: 글로벌 사용자에게 빠른 로딩 보장.
단점: 추가 비용 발생 가능.
구현: Cloudflare, AWS CloudFront 등 CDN 서비스 연동.

정리

첫째, WebP나 AVIF로 파일 크기를 줄이고, <picture> 태그로 호환성을 보장합니다.
둘째, srcset과 sizes로 디바이스별 적절한 이미지 제공.
셋째, 지연 로딩(Lazy Loading)입니다. HTML loading="lazy" 속성을 통해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화면에 스크롤할 때 해당 위치에 도달하는 이미지가 로드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마지막으로, CDN을 통해 전송 속도를 최적화합니다.

방법설명도구/기술장점단점
포맷 최적화WebP/AVIF로 파일 크기 감소<picture>, ImageMagick압축 효율, 품질 유지호환성 문제
사이즈 조정화면 크기에 맞게 리사이징srcset, sizes디바이스별 최적화서버 준비 작업 필요
지연 로딩뷰포트 내 이미지만 로드loading="lazy", Intersection Observer초기 로딩 속도 개선SEO 영향 가능
CDN가까운 서버에서 이미지 제공Cloudflare, AWS CloudFront글로벌 빠른 로딩, 서버 부하 감소비용 발생, 캐시 관리 필요

참고 자료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