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정의>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
- 서로 다른 시스템들 사이에서 통신을 주고받게 해주는 가장 기초적인 프로토콜
-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
-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
<구조>
- HTTP는 애플리케이션 레벨의 프로토콜로 TCP/IP 위에서 작동
- HTTP는 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는 Stateless 프로토콜이며 Method, Path, Version, Headers, Body 등으로 구성
<문제점>
- HTTP는 암호화가 되지 않은 평문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 HTTP로 비밀번호나 주민등록번호 등을 주고 받으면 제3자가 정보를 조회할 수 있었음
-> 그리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TPS가 등장
HTTPS
<정의>
- HTTPS(HyperText Transfer Protocol Secure)의 약자
- HTTP에 데이터 암호화가 추가된 프로토콜
- HTTP와 다르게 443번 포트를 사용
- HTTPS 프로토콜은 SSL(보안 소켓 계층)을 사용함으로써 이 문제를 해결함
*SSL은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 안전하게 암호화된 연결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고, 서버 브라우저가 민감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이것이 도난당하는 것을 막아줌
<암호화 방식>
[대칭키 암호화]
-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일한 키를 사용해 암호화/ 복호화를 진행함
- 키가 노출되면 매우 위험하지만 연산 속도가 빠름
[비대칭키 암호화]
-
1개의 쌍으로 구성된 공개키와 개인키를 암호화/복호화 하는데 사용함
-
키가 노출되어도 비교적 안전하지만 연산 속도가 느림
-- 공개키: 모두에게 공개가능한 키
-- 개인키: 나만 가지고 알고 있어야 하는 키
-
암호화를 공개키로 하느냐 개인키로 하느냐에 따라 얻는 효과가 다른데, 공개키와 개인키로 암호화하면 각각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공개키 암호화: 공개키로 암호화를 하면 개인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다. -> 개인키는 나만 가지고 있으므로, 나만 볼 수 있다.
-- 개인키 암호화: 개인키로 암호화하면 공개키로만 복호화할 수 있다. ->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으므로, 내가 인증한 정보임을 알려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동작 과정>
- HTTPS는 대칭키 암호화와 비대칭키 암호화를 모두 사용하여 빠른 연산 속도와 안정성을 얻고 있음
- 연결 과정(Hand-Shaking)에서는 먼저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세션키를 교환
-- 세션키 : 주고 받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대칭키
-- 비대칭키 : 처음 연결을 성립하여 안전하게 세션키를 공유하는 과정에서 사용됨
<실제 HTTPS 연결 과정>
- 실제 HTTPS 연결 과정이 성립되는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서버로 최초 연결 시도를 함
- 서버는 공개키(엄밀히는 인증서)를 브라우저에게 넘겨줌
- 브라우저는 인증서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세션키를 발급함
- 브라우저는 세션키를 보관하며 추가로 서버의 공개키로 세션키를 암호화하여 서버로 전송함
- 서버는 개인키로 암호화된 세션키를 복호화하여 세션키를 얻음
-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동일한 세션키를 공유하므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세션키로 암호화/복호화를 진행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