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SI 7계층이란

국제 표준화 기구(ISO)가 정의한 국제 통신 표준 규약이다.

네트워크에서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총 7개의 계층으로 나눈 것을 말한다.

왜 나눠 놓았는가?

계층을 나누면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다. 흐름을 알아보기 쉽고 이해하기 쉬워진다는 뜻이다. 또한 7계층 중 특정한 계층에 오류가 생기면, 다른 계층을 건드리지 않고 오류가 생긴 계층만 고치면 되기 때문이다.

위의 그림과 같이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1 Layer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계층에서는 비트가 통신 단위로써 사용되며, 이것은 01로만 나타낸다.

이 계층에서는 단지 데이터(전기적 신호)를 전달할 뿐
그 데이터가 어떤 데이터인지, 어떤 문제는 없는지 등은 신경쓰지 않는다.

이 계층에 속하는 대표적 장비는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이 있다.

2 Layer : 데이터 링크 계층(DataLink Layer)

물리 계층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의 오류 및 흐름을 관리한다. 데이터 전송 오류를 감지하여 재전송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신뢰성 있는 전송을 위해 흐름 제어, 오류 제어, 회선 제어를 수행한다.

데이터링크 계층에서는 MAC 주소를 가지고 통신한다. 이 계층에서는 프레임이 통신 단위로써 사용된다.

이 계층에 속하는 장비는 브리지, 스위치 등이 있다.

3 Layer :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이 계층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은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라우팅)이다. 이 때 데이터 단위는 패킷이다.

종단 간 전송(End to End)을 위한 경로 설정을 담당한다. 종단 간 전송을 위한 주소로 IP 주소를 사용한다. 라우터가 이 계층에서 사용된다.

4 Layer :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종단의 사용자들이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 준다. 연결 제어, 흐름 제어, 오류 제어 등을 수행한다.

프로세스를 특정하기 위한 주소로 포트 번호를 사용한다.

가장 잘 알려진 전송 계층의 예는 TCP이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종단 프로세스 간에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적 서비스를 제공한다.

UDP

User Datagram Protocol

신뢰성이 낮은 프로토콜이긴 하지만,
비연결적이고 순서화되지 않아 빠른 요청과 응답이 필요한 실시간 통신에 적합하다.

5 Layer : 세션 계층(Session Layer)

응용 프로그램 간의 논리적인 연결(세션) 생성 및 제어를 담당한다.

세션 설정 및 유지, 종료의 기능과 더불어 체크 포인팅(전송 중간에 연결이 끊겼을 때 해당 위치부터 재시작할 수 있게 함)을 수행한다.
TCP/IP 세션을 만들고 없애는 역할을 한다.

6 Layer :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데이터의 변환, 압축, 암호화(인코딩, 디코딩)가 이루어진다.

응용 프로그램에서 Data를 이해할 수 있게 각 응용 프로그램에 맞게 데이터를 변환해서 '표현' 해준다.

7 Layer :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최종 종착지로서 HTTP, FT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다.
응용 프로세스와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고 응용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와 가장 밀접한 계층이며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HTTP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브라우저, 웹 서버 상호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HTTP 메시지를 주고받으며 통신한다.

참고한 사이트

profile
울면안돼 쫄면안돼 냉면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