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S 코딩테스트 ] 공원 산책

SeungJin·2023년 3월 29일
0

JS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104/111

문제 설명

지나다니는 길을 'O', 장애물을 'X'로 나타낸 직사각형 격자 모양의 공원에서 로봇 강아지가 산책을 하려합니다. 산책은 로봇 강아지에 미리 입력된 명령에 따라 진행하며, 명령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주어집니다.

  • ["방향 거리", "방향 거리" … ]

예를 들어 "E 5"는 로봇 강아지가 현재 위치에서 동쪽으로 5칸 이동했다는 의미입니다. 로봇 강아지는 명령을 수행하기 전에 다음 두 가지를 먼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할 때 공원을 벗어나는지 확인합니다.
  • 주어진 방향으로 이동 중 장애물을 만나는지 확인합니다.

위 두 가지중 어느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로봇 강아지는 해당 명령을 무시하고 다음 명령을 수행합니다.
공원의 가로 길이가 W, 세로 길이가 H라고 할 때, 공원의 좌측 상단의 좌표는 (0, 0), 우측 하단의 좌표는 (H - 1, W - 1) 입니다.

공원을 나타내는 문자열 배열 park,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이 담긴 문자열 배열 rout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로봇 강아지가 모든 명령을 수행 후 놓인 위치를 [세로 방향 좌표, 가로 방향 좌표] 순으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3 ≤ park의 길이 ≤ 50
    • 3 ≤ park[i]의 길이 ≤ 50
      • park[i]는 다음 문자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작지점은 하나만 주어집니다.
      • S : 시작 지점
      • O : 이동 가능한 통로
      • X : 장애물
    • park는 직사각형 모양입니다.
  • 1 ≤ routes의 길이 ≤ 50
    • routes의 각 원소는 로봇 강아지가 수행할 명령어를 나타냅니다.
    • 로봇 강아지는 routes의 첫 번째 원소부터 순서대로 명령을 수행합니다.
    • routes의 원소는 "op n"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op는 이동할 방향, n은 이동할 칸의 수를 의미합니다.
      • op는 다음 네 가지중 하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 N : 북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S : 남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W : 서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E : 동쪽으로 주어진 칸만큼 이동합니다.
    • 1 ≤ n ≤ 9

입출력 예

parkroutesresult
["SOO","OOO","OOO"]["E 2","S 2","W 1"][2,1]
["SOO","OXX","OOO"]["E 2","S 2","W 1"][0,1]
["OSO","OOO","OXO","OOO"]["E 2","S 3","W 1"][0,0]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입력된 명령대로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하면 [0,0] -> [0,2] -> [2,2] -> [2,1]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 입력된 명령대로라면 동쪽으로 2칸, 남쪽으로 2칸, 서쪽으로 1칸 이동해야하지만 남쪽으로 2칸 이동할 때 장애물이 있는 칸을 지나기 때문에 해당 명령을 제외한 명령들만 따릅니다. 결과적으로는 [0,0] -> [0,2] -> [0,1]이 됩니다.

입출력 예 #3

  • 처음 입력된 명령은 공원을 나가게 되고 두 번째로 입력된 명령 또한 장애물을 지나가게 되므로 두 입력은 제외한 세 번째 명령만 따르므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0,1] -> [0,0]

풀이

 const solution = (park, routes) => {
    // park를 문자열로 치환하고 S의 index검색
    const start = park.join('').indexOf('S')
    // park 요소의 길이
    const len = park[0].length;
    // 이동을 시작할 위치 [ Y 축 , X 축 ]
    let pos = [Math.floor(start / len), start % len]
    // park의 마지막 요소(Y축)의 마지막 위치(Y축)은 [-1,-1]로 리턴
    if (pos[0] === park.length && pos[1] === len) return [-1, -1]

    routes.map((v) => {
      // [방향, 거리]
      let arr = v.split(' ')
      // 이동할 방향이 수직인지 확인
      const vtc = arr[0] === 'N' || arr[0] === 'S';
      // 방향이 위쪽(N)이나 왼쪽(W)인지 확인
      const dir = arr[0] === 'N' || arr[0] === 'W' ? -1 : 1;
      // 방향이 왼쪽과 위쪽이라면 거리를 음수로 변경해 반복문이 끝나면 pos에 더할 값으로 변경
      arr[1] = arr[0] === 'N' || arr[0] === 'W' ? Number(-arr[1]) : +arr[1]
      // 이동할 거리만큼 반복
      for (let a = 1; a <= Math.abs(arr[1]); a++) {
        // 이동할 방향이 수직이라면 한칸 이동한 X축 = park[현제 위치 + 한칸이동 * 방향이 N,W 라면 -1 아니라면 1]
        // 수직이 아니라면 현제 있는 X축 = park[pos[0]]
        const check = vtc ? park[pos[0] + a * dir] : park[pos[0]]
        // 방향이 수직인 경우 이동후 값이 undefined 이거나 이동후 Y축이 "X"라면 반복문 중지
        if (!check || check[pos[1]] === 'X') return
        // (방향이 수직인가 ? X축의 pos[1]번째는 값이 있는가 : (X축의 pos[1] 번째위치에서 이동했을때 값이 있는가? || 이동했을때 값이 X인가? ))
        if ((vtc ? !check[pos[1]] : (!check[pos[1] + a * dir] || check[pos[1] + a * dir] === 'X'))) return;
      }
      // 이동 방향이 수직이라면 pos[0](Y축)에 이동한 거리 를 더해줍니다
      // 방향이 수평이라면 pos[1](X축)에 이동한 거리 를 더해줍니다
      vtc ? pos[0] += arr[1] : pos[1] += arr[1]
    })
    return pos;
  }

  // N = Up
  // S = Down
  // W = Left
  // E = Right
profile
혼자 공부해 보고 적어두는 블로그입니다 문제 있다고 생각되시는 부분이 있으면 피드백이라도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