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펜에서 요렇게 해서 탭하면
요렇게 됩니다. vs code도 동일.
위에는 형제지간
아래는 div가 부모고 section이 자식이다.
바디 안에 있기 때문에 쟤네들은 자식과 후손들임.
이런걸 sibling이라고 한다.
이런관계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js를 사용하기 쉽다.
왜? 관계설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a href="https://www.naver.com/" target="_blank">네이버</a>
원래 a링크는 현재 창에서 이동을 하는데, target으로 저렇게 주면 새 창으로 띄워줍니다.
<br>
<hr>
<input>
닫는태그가 없다는 것은뭘 의미할까? 자식을 가질 수 없다. 자식이 되려면 감싸야 될 닫는 태그가 필요한데 얘들은 없잖아요? 그럼 가질 수 없음ㅠ
margin은 바깥 여백, padding은 안쪽 여백
padding으로 줬을 때
가운데 정렬하고 싶은 대상이 누구인지 확실히 파악해야 하고,
그것이 글자인지 블록인지 확인을 한 뒤에 스타일을 줘야 한다.
나는 잘가를 가운데 정렬로 하고 싶은데 현재 display가 inline-block으로 되어있으면 section은 글자화가 되어 있는 것.
text-align은 상속이기 때문에 부모를 따라한다. 때문에 div태그를 부모로 두고 부모에게 text-align을 주면 된다.
공백을 대체할 수 있는 문자!!
” ” : 공백(스페이스 한 칸)을 의미
<
부등호(<)
>
부등호(>)
&
앰퍼샌드(&) 기호
"
쌍따옴표(“)
#
sharp(#)
'
따옴표(‘)
굳이 다 외울 필요는 없고 적재적소에 알아서 찾아 쓰세요.  
이것 정도만 외워두면 될듯?
http://bnx.oa.gg/#
요기 사이트 들어가서 연습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