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들이 착각을 하는데 div 태그밖에 after가 있는줄 알지만 사실 태그 안에 들어갑니당.
그리고 드래그가 안된다는 특징이 있다.
:not(:only-child)::after
:only-child::after
이렇게 빠르게 사이드바나 메뉴를 만들기까지 매일 연습해서 강사쌤은 4-5개월 걸렸다고 한다
나는 4개월 간다
float
플롯이 뭐야 띄우다잖아!
<nav class="menu-box-1">
<ul class="row">
<li class="cell"><a href="#">1차메뉴 1</a></li>
<li class="cell"><a href="#">1차메뉴 2</a></li>
<li class="cell"><a href="#">1차메뉴 3</a></li>
<li class="cell"><a href="#">1차메뉴 4</a></li>
</ul>
</nav>
body,
ul,
li {
list-style: none;
padding: 0;
margin: 0;
}
a {
color: inherit;
text-decoration: none;
}
.menu-box-1 {
border: 10px solid red;
width: 980px;
margin-top: 30px;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menu-box-1 > ul {
background-color: pink;
}
.menu-box-1 > ul > li {
background-color: gold;
width: 25%;
/* width : calc(100 % 4); */
}
.menu-box-1 > ul > li > a {
display: block;
font-weight: bold;
text-align: center;
}
/* .font-size-0 {
font-size : 0;
}
.font-size-0 > * {
font-size : 1rem;
} */
.cell {
float: left;
}
/* 이런 속성을 줘야하는 건 규칙이야! 공식이야! 왜 쓰는지 몰라도 돼. 그냥 이렇게 묶어서 쓴다!라고 생각해라 */
.row::after {
content: "";
clear: both;
display: block;
}
빈칸은 폰트를 모두 0으로 만들고
다시 모든걸 1rem으로!!
근데 이방법은 몰라도 됩니당
이럴 때는 float속성을 주면 된다~!!
왜 이런 라이브러리를 쓰냐 ?
왜냐면 클래스 이름들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
태그고 설정이고 모두 html 태그 안에다가 집어넣기 때뭉에.. .
여기 사이트 들어가보면 하나씩 뭔가 선택되어 있는데 그것이 기본값입니다.
왼쪽에 있는것은 부모의 요소에게 주는것이고 오른쪽은 요소에게 직접 주는것.
flex-grow ( property for flex items ) : 남은 여백을 누가 얼만큼의 비율로 가져갈거야.
flex-shrink ( property for flex items ) : 얼만큼 양보할거야. (근데 직접적으로 다룰일 없을거같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