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평가
대학 교수인 당신은, 상호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물에 학점을 부여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0번부터 4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5명의 학생들이 자신과 다른 학생의 과제를 평가한 점수표입니다.
No. | 0 | 1 | 2 | 3 | 4 |
0 | 90 | 98 | 88 | 65 | |
1 | 50 | 99 | 85 | 77 | |
2 | 47 | 88 | 95 | 80 | 67 |
3 | 61 | 57 | 100 | 80 | 65 |
4 | 24 | 90 | 94 | 75 | 65 |
평균 | 45.5 | 81.25 | 97.2 | 81.6 | 67.8 |
학점 | F | B | A | B | D |
위의 점수표에서, i행 j열의 값은 i번 학생이 평가한 j번 학생의 과제 점수입니다.
당신은 각 학생들이 받은 점수의 평균을 구하여, 기준에 따라 학점을 부여하려고 합니다.
만약,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평가한 점수가 유일한 최고점 또는 유일한 최저점이라면 그 점수는 제외하고 평균을 구합니다.
제외할 점수는 제외하고 평균을 구한 후, 아래 기준에 따라 학점을 부여합니다.
평균 | 학점 |
---|---|
90점 이상 | A |
80점 이상 90점 미만 | B |
70점 이상 80점 미만 | C |
50점 이상 70점 미만 | D |
50점 미만 | F |
scores | result |
---|---|
[[100,90,98,88,65],[50,45,99,85,77],[47,88,95,80,67],[61,57,100,80,65],[24,90,94,75,65]] | "FBABD" |
[[50,90],[50,87]] | "DA" |
[[70,49,90],[68,50,38],[73,31,100]] | "CFD" |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No. | 0 | 1 |
0 | 50 | 90 |
1 | 50 | |
평균 | 50 | 90 |
학점 | D | A |
No. | 0 | 1 | 2 |
0 | 70 | 49 | 90 |
1 | 68 | 38 | |
2 | 73 | 31 | |
평균 | 70.33… | 40 | 64 |
학점 | C | F | D |
def minmax(my_num, score_list):
if my_num == max(score_list):
if score_list.count(max(score_list)) == 1:
score_list.remove(my_num)
if my_num == min(score_list):
if score_list.count(min(score_list)) == 1:
score_list.remove(my_num)
avg = sum(score_list) / len(score_list)
return grade(avg)
def grade(avg):
if avg >= 90:
return "A"
elif avg >= 80:
return "B"
elif avg >= 70:
return "C"
elif avg >= 50:
return "D"
else:
return "F"
def solution(scores):
answer = ''
my_num = 0 # 스스로 한테 매긴 점수
for y in range(len(scores)):
score_list = []
for x in range(len(scores)):
score_list.append(scores[x][y])
if x == y:
my_num = scores[x][y]
answer += minmax(my_num, score_list)
return answer
2차원 배열에 각각 서로에게 준 점수중 0번째 순서부터 마지막 순서까지의 점수 리스트를 구하고,
그 안에서 스스로매긴 점수와 최대,최소값 찾아서 중복인지 아닌지 비교하고,
그 것을 학점으로 처리하는 간단한 로직을 여러번 사용하여 풀게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맨처음에 score_list를 표현하는데 가장시간을 소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