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드와 객체를 실제로 직접 한번 프로그래밍 해볼 것이다!!
그 전에 get과 set이라는 것에대해 살펴 볼 것이다. 흔히 게터와 세터라고 불리는 것들이다. 객체를 생성하면 기본적으로 객체 안에서 사용할 변수를 선언한다. 이 때 변수를 private으로 선언하게 되는데, 이것은 그 클래스 안 즉, 그 파일안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클래스 파일에서 사용하려면 게터와 세터를 이용해서 값을 얻어와야 한다!
public class ManClass {
private int age;
private int height;
private int weight;
private String phoneNum;
}
살펴볼 예제에서 변수 부분을 가져온 것이다. 사람을 생성하는 객체를 만들 것이다. 이름과 몸무게, 키, 전화번호가 포함되어 있다. 이때 private이기 때문에 여기 안에서만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setAge(int age) {
this.age = age;
}
public int getHeight() {
return height;
}
public void setHeight(int height) {
this.height = height;
}
public int getWeight() {
return weight;
}
public void setWeight(int weight) {
this.weight = weight;
}
public String getPhoneNum() {
return phoneNum;
}
public void setPhoneNum(String phoneNum) {
this.phoneNum = phoneNum;
}
이 부분이 이제 게터와 세터이다. 이클립스를 사용하면 마우스 우클릭 -> Generate Getters and Setters 부분에서 불러오면 된다. 하나씩 다 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this라는 생소한 word가 나오는데 this란 자기 자신을 뜻하는 것이다. 각각 메소드에서 들어오는 변수가 아닌 private으로 설정했던 그 변수들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것은 주로 세터에서 사용하므로 메소드로 받은 값을 자기 자신에 저장해주는 의미이다. 이렇게 세터로 설정을 해준다음 게터로 return 해주면 끝이다!
public class MainClass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nClass man = new ManClass(10, 80, 181, "0105XXX8XXX");
}
}
그 다음 main함수 안에서 객체를 생성해주기만 하면 끝이다. 매우 간단한 로직이다. 그리고 객체는 여러개 생성할 수 있다. man 뿐만 아니라 gril도 생성하여 사용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여기서 이 객체들은 서로 완전 다른 것들이다.
흔히 객체 지향이라는 말을 사용해보았다. 아직 객체지향을 다룬다라는 말을 하기엔 부족하다. 이후에 상속, 추상화, 인터페이스 등을 같이 다뤄야 객체지향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Java라는 언어를 잘 사용하기 위해선 객체지향에대한 정확한 개념과 의미를 파악하여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