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IP 프로토콜

이준영·2023년 11월 24일
0

🌐 HTTP

목록 보기
1/9

IP 프로토콜

내가 한국에서 미국에 "Hello, world"라는 메세지를 보내게 된다면 복잡한 인터넷 망을 뚫고 목적지까지 도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규칙이 IP 입니다.

IP는 요청이 도착해야할 주소를 의미하고,
패킷이라는 통신 단위로 데이터를 전달합니다.

클라이언트 패킷 전송

우리가 보낼 "Hello, world" 라는 데이터를 보내는 출발지 IP, 목적지 IP 등등의 데이터를 추가로 감싸 패킷을 만들어 전송하면 복잡한 인터넷 내부 노드를 타고 목적지 까지 요청이 도착하게 됩니다.

서버 패킷 전송


이후 요청이 잘 도착했다는 것을 보낸 사람에게 알려주기 위해 잘 도착했다는 정보를 이번엔 반대로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전송하게 됩니다.
이때 같은 출발지와 목적지이지만 인터넷 내부 망이 복잡해 다른 노드를 통해 전송될 수 있습니다.

IP 프로토콜의 한계

  • 비연결성
    • 패킷을 받을 대상이 없거나 서비스 불능 상태여도 패킷 전송
      • 편지를 보냈는데 당사자가 거기 살지 않아도 편지는 보내짐
  • 비신뢰성
    • 중간에 패킷이 사라질 수 있음.
    • 패킷이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음
      • 보내는 데이터의 용량이 크면 한번에 보내기 부담스럽기 때문에 여러개로 쪼개서 보냄. 이때 순서가 다르게 도착할 수 있음
  • 프로그램 구분
    • 같은 IP를 사용하는 서버에서 통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둘 이상이면?
      • 하나의 컴퓨터로 게임도하고 음악도 듣고 하면 어떤게 게임에 대한 패킷이고 음악에 대한 패킷인지 구분하기 어렵다.

IP프로토콜 만으로는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TCP가 이것을 해결 해 줍니다.


=> TCP, UDP




참고

profile
작은 걸음이라도 꾸준히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