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시간에 폼 데이터를 받고 변환하여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해보았다
이번에는 저장된 데이터를 직접 DB 안에서 확인해보도록 하자.
DB에 저장된 데이터는 테이블이란 틀에 관리되는데, 이러한 테이블은 행과 열로 이루어져 있다. 앞서 우리가 Entity로 선언했던 Article을 예로 들자면,
Id 제목 내용으로 이루어졌던 해당 Entity는 테이블로 만들어지고 이 틀에 맞추어 관리가 된다.
한 줄에 데이터가 기록됨을 통해 데이터의 생성이 이루어지고, 생성된 데이터는 조회, 삭제, 수정되기도 한다. 이러한 데이터의 CRUD 처리는 DB 내에서 SQL이라는 언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application.properties에 가서 작성
h2 DB, 웹 콘솔 접근 허용한다는 의미
spring.h2.console.enabled=true
Run하고 아래 코드를 찾는다.
http://localhost:8080/h2-console 로 들어가서 JDBC URL에 붙여넣기
기본 화면이 뜨고
http://localhost:8080/articles/new?# 에서 값을 submit 하는대로
SELECT 했을 때 레코드가 추가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
INSERT INTO로도 추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