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기초 - 데이터 타입(Data Type)

ITmakesmeSoft·2022년 9월 3일
0

PYTHON [BASIC]

목록 보기
1/13
post-thumbnail
post-custom-banner

변수(variable)

한 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사용. 변수를 사용하면 숫자를 직접 적지 않고 의미 단위로 작성이 가능하며, 가독성이 증가, 코드 수정이 용이해짐 (추상화)

  • 변수의 할당(assignment)
    변수는 할당 연산자(=)할 때에는 변수명을 적고 값을 입력해주면 됨. (변수명 = 값)
# 변수를 할당할 때는 문자(열)와 숫자를 넣을 수 있음.
practice = '연습만이 살 길'
practice_1 = 10000000

# 같은 값은 동시에 할당도 가능
practice = practice_1 = 100

# 다른 값을 동시에 할당도 가능
practice, practice_1 = 200, 300
  • 변수 x와 y의 값을 바꾸는 경우
# 방법 1
x, y = 10, 20
tmp = x
x = y
y = tmp
print(x, y) # 20, 10

# 방법 2 (파이썬만 가능)
x, y = 1, 2
x, y = y, x
print(x, y) # 2, 1
  • 변수 이름 규칙
    • 식별자의 이름은 영문 알파벳, 언더스코어(_), 숫자로 구성
    • 첫 글자에 숫자가 올 수 없음
    • 길이 제한이 없고, 대소문자를 구별
    • 내장 함수나 모듈 등의 이름 사용하지 않아야 함
    • 다음의 키워드(keywords)에서는 예약어(reserved words)로 사용할 수 없음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 ['False', 'None', 'True', '__peg_parser__', 'and', 'as', 'assert', 'async', 
#'await', 'break', 'class', 'continue', 'def', 'del', 'elif', 'else', 'except', 
#'finally', 'for', 'from', 'global', 'if', 'import', 'in', 'is', 'lambda', 'nonlocal', 
#'not', 'or', 'pass', 'raise', 'return', 'try', 'while', 'with', 'yield']

산술 연산자

기본적인 사칙 연산 및 수식 계산

문자열 자료형(String Type)

: 모든 문자는 str타입

  • 문자열은 작은따옴표(’)나 큰따옴표(”)를 활용하여 표기
    • 문자열을 묶을 때 동일한 문장부호를 활용
    • PEP8에서는 소스코드 내에서 하나의 문장부호를 선택하여 유지하도록 함.
      print('hello") # (X) 작은 따옴표와 큰 따옴표를 혼용하면 안됨
      print('hello')
      print("hello") # 한 소스코드 내에서는 하나의 문장부호로 통일 할 것.
    • 작은따옴표가 들어있거나, 큰따옴표가 들어있는 경우, 큰따옴표/혹은 작은따옴표로 문자열을 생성
      print('문자열 내에서 "문자열" 생성')
      print("문자열 내에서 '문자열' 생성")
  • 삼중 따옴표(Triple Quotes)
    print('''
    여러 줄을 만드는 경우 \n
    삼중따옴표(\'\'\' 또는 \"\"\")를 이용하면 편리
    ''')
  • Escape Sequence 역슬래시(backslash)뒤에 특정 문자가 와서 특수한 기능을 하는 문자 조합
    예약 문자내용(의미)
    \n줄 바꿈
    \t
    \r캐리지 리턴
    \0널(Null)
    \\
    \’단일인용부호(’)
    \“이중인용부호(”)
    print('철수\'안녕\'') # 철수'안녕'
    
    print('엔터. \n 그리고 탭\t')
    #탭      , 엔터
    #내용
  • 문자열 연산(String Concatenation)
    # 덧셈
    	print('a'+'b') # ab
    
    # 곱셈
    	print('a'*3)
  • 문자열과 변수를 함께 사용하는 법(String Interpolation)
    # 1. str.format()
    	name='kim'
    	score=0.1
    	print('{}님의 점수는 {}'.format(name, score))
    	
    # 2. f-strings : python 3.6+
    	name='kim'
    	score=0.1
    	print(f'{name}님의 점수는 {score}')

자료형(Datatype)의 분류

  • 수치형(Numeric Type)
    • int(정수, Integer) : 0, 100, -200과 같은 정수
      • 2진수(binary) : 0b
      • 8진수(octal) :0o
      • 16진수(hexadecimal) : 0x
    • float(부동소수점/실수. float point number) : 유리수와 무리수를 포함하는 실수
      • 부동 소수점
        • 실수의 값을 처리할 때 의도하지 않은 값이 나올 수 있음
          print(3.2 - 2.1) # 0.10000000000000009
          print(1.2 - 1.1) # 0.09999999999999987
          # 연산의 결과가 0.1이 아님      
        • 원인은 부동 소수점 때문
          • 컴퓨터는 2진수를 사용. 사람은 10진법을 사용
          • 이때 10진수 0.1은 2진수로 표현하면 0.0001100110011001100…같이 무한대로 반복
          • 무한대 숫자를 그대로 저장할 수 없어, 사람이 사용하는 10진법의 근사값을 표시
          • 0.1의 경우 3602879701896397/2**55 이며, 0.1에 가깝지만 정확이 동일하진 않음.
          • 이런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타남(Floating point roundling error)
        • 해결책
          • 매우 작은 수보다 작은지를 확인하거나 math 모듈 활용

            a = 3.2 - 3.1 # 0.10000000000000009
            b = 1.2 - 1.1 # 0.09999999999999987
            
            # 1. 임의의 작은 수 활용
            print(abs(a-b) <= 1e-10) # True
            
            # 2. python 3.5 이상
            import math
            print(math.isclose(a,b)) # True
    • complex(복소수, complex number)
  • 문자열(String Type)
  • 불린형(Boolean Type)
    • 논리 자료형으로, 참과 거짓을 표현하는 자료형
    • True(1) 또는 False(0) 값을 가짐
    • 비교/논리 연산에서 활용됨
  • None

컨테이너

: 여러 개의 값(데이터)을 담을 수 있는 것(객체)으로,
서로 다른 자료형을 저장할 수 있음 (파이썬만의 특징)

  • 컨테이너의 분류
    순서가 있는 데이터(Ordered) vs 순서가 없는 데이터(Unordered)
    ”순서가 있다” ≠ “정렬되어 있다.”
  • 시퀀스형(순서 있음)
    • 리스트(가변형; mutable)
    • 튜플(불변형; immutable)
    • 레인지(불변형; immutable)
  • 비시퀀스형(순서 없음)
    • 세트(가변형; mutable)
    • 딕셔너리(가변형; mutable)

리스트(List)

: 여러 개의 데이터를 순서가 있는 구조로 저장하고 싶을 때 사용.
요소를 추가하거나 삭제, 편집이 가능(mutable)

  • 리스트 생성
    리스트명을 적고 아래와 같이 list() 또는 대괄호[]를 이용해 생성.
    ```python
    Array = list()
    Array_1 = []
    print(type(Array))   # <class 'list'>
    print(type(Array_1)) # <class 'list'>
    ```
  • 값에 대한 접근
    리스트는 순서가 있는 시퀀스로, 인덱스(0~n-1)를 통해 접근 가능
    ```python
    li=[1,2,3,4,5]
    print(li[0])     # 1
    print(li[1])     # 2
    print(li[5])     # 4
    ```
  • 리스트 요소 추가/변경
    list.append(”내용”)를 이용해 요소를 추가하거나 인덱스에 접근하여 추가 또는 변경 가능.
    ```python
    Array=['과자', '빵']
    Array.append('아이스크림')
    Array[3]='사과'
    print(Array[2])   # '아이스크림'
    Array[0]='수박'
    print(Array)      # ['수박', '빵', '아이스크림', '사과']
    ```

튜플(Tuple)

: 리스트와 비슷하지만 한 번 선언 시 값을 수정을 할 수 없음. (불변형)

  • 튜플 생성
    튜플은 소괄호()에 값을 넣어 선언할 수 있음. (리스트의 경우 대괄호[])
    ```python
    tuple1 = (1, 2, 3)    # 튜플 선언됨
    print(tuple(3, 4, 5)) # (3, 4, 5)
    tuple1[1]=2           # TypeError : 'tuple' object does not support item assignment
    									    # 튜플은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오류 방생
    ```
  • 튜플 생성 시 주의사항
    • 단일 항목의 경우

      • 하나의 항목으로 구성된 튜플은 생성 시 값 뒤에 쉼표를 붙여야 함
    • 복수 항목의 경우
      - 마지막 항목에 붙은 쉼표는 없어도 되지만, 넣는 것을 권장(Trailing comma)

      tuple_a = (1,)
      print(tuple_a) # (1,)
      print(type(tuple_a)) #<class 'tuple'>
      
      tuple_b = (1, 2, 3,)
      print(tuple_b) # (1, 2, 3)
      print(type(tuple_b)) #<class 'tuple'>
      a = 1,
      print(a) # (1,)
      print(type(a)) # <class 'tuple'>
      
      b = 1, 2, 3
      print(b) # (1, 2, 3)
      print(type(b)) #<class 'tuple'>
  • 튜플 대입
    : 우변의 값을 좌변의 변수에 한 번에 할당하는 과정
    튜플은 일반적으로 파이썬 내부에서 활용되며, 추후 함수에서 복수의 값을 반환할 때에도 활용
    ```python
    x, y = 1, 2
    print(x, y) # 1, 2
    
    #실제로 튜플로 처리
    x, y = (1, 2)
    print(x, y) # 1, 2
    ```

Range

숫자의 시퀀슬르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며, 주로 반복문과 함께 사용됨

# 기본형 : range(n) => 0 ~ n-1까지
print(list(range(4))) # [0, 1, 2, 3]

# 범위 지정 : range(n, m) => n ~ m-1까지
print(list(range(1,6))) # [1, 2, 3, 4, 5]

# 스텝 지정 : range(n, m, s) => n ~ m-1까지 s만큼 증가
print(list(range(1,6,2)))  # [1, 3, 5]
print(list(range(6,1,-1))) # [6, 5, 4, 3, 2]
print(list(range(6,1,-2))) # [6, 4, 2]

슬라이싱 연산자

: 시퀀스의 인덱스와 콜론을 사용하여 문자열의 특정 부분만 잘라내는게 가능
슬라이싱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나타낼 때 콜론을 기준으로 앞 인덱스에 해당하는 문자는 포함되지만 뒤 인덱스에 해당 문자는 미포함

# 리스트[1:4]에서 1은 포함, 4는 미포함
print([1, 2, 3, 5][1:4]) # [2, 3, 5]

# 튜플
print((1, 2, 3)[:2]) # (1, 2)

# range
print(range(10)[5:8]) # range(5, 8)

# 문자열
print('abcd'[2:4]) # cd

# 스텝 지정
print([1, 2, 3, 5][0:4:2]) # [1, 3]
print((1, 2, 3, 5)[0:4:2]) # (1, 3)
print(range(10)[1:5:2]) # range(1, 5, 2)
print('abcded'[1:4:2]) # bd

# 생략
print([1, 2, 3, 4, 5][::2]) # [1, 3, 5]
print([1, 2, 3, 4, 5][2:])  # [3, 4, 5]

Set(세트)

  • Set이란 중복되는 요소가 없이, 순서에 상관없는 데이터들의 묶음

    •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중복되는 원소가 있다면 하나만 저장
    • 순서가 없기 때문에 인덱스를 이용한 접근 불가능
    • 수학에서의 집합을 표현한 컨테이너
      • 집합 연산이 가능(여집합을 표현하는 연산자는 별도로 존재하진 않음)
      • 중복된 값이 존재하지 않음
    • 담고 있는 요소를 삽입, 변경, 삭제 가능 ⇒ 가변 자료형(mutable)
  • Set의 생성

    # 중괄호{} 또는 set()을 통해 생성. 빈 셋을 만들기 위해서는 반드시 set() 사용
    print({1, 2, 3, 4})       #{1, 2, 3, 4}
    print(type({1, 2, 3, 4})) # <class 'set'>
    
    # 빈 중괄호는 Dictionary
    blank = {}
    print(type(blank))     # <class 'dict'>
    blank_set = set()
    print(type(blank_set)) # <class 'set'> 
    
    #set은 순서가 없는 비시퀀스형으로, 인덱스 접근 불가
    print({1, 2, 3}[0]) # TypeError: 'set' object is no subscriptable
  • set 사용하기
    # 요소 개수
    my_list = ['가', '나', '다', '가', '나']
    print(len(set(my_list))) # 3
    # my_list를 set로 변환 후 개수를 셈
    # set을 사용하는 순간 중복 요소는 제거됨
  • set 연산자
    a_set = {1, 2, 3, 4}
    b_set = {1, 2, 3, 'hello', (1,2,3)}
    
    print(a_set | b_set) # {1,2,3,4, (1,2,3), 'hello'}
    print(a_set & b_set) # {1, 2, 3}
    print(a_set - b_set) # {(1,2,3), 'hello'}
    print(a_set ^ b_set) # {'hello', 4, (1,2,3)}
    연산자기호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대칭차집합^
    (여집합은 없음)

딕셔너리(Dictionary)

: 사전형 데이터를 의미하며, key와 value를 가짐.

  • 3.7부터는 ordered(순서 있음), 이하 버전은 unordered(순서 없음)
    • Dictionary의 키(key)
      • key는 변경 불가능한 데이터(immutable)만 활용 가능
      • string, integer, float, boolean, tuple, range
    • 각 키(key)의 값(values)
      • 어떠한 형태든 관계없음
  • 딕셔너리의 생성
    • 딕셔너리는 중괄호({ }) 또는 dict()를 통해 생성

    • key를 통해 value에 접근

      dict_a = {]
      print(type(dict_a)) # <class 'dict'>
      
      dict_b = dict()
      print(type(dict_b)) # <class 'dict'>
      
      dict_a = {'a':'apple', 'b':'banana', 'list':[1, 2, 3]}
      print(dict_a['a'])  # 'apple'
      
      dict_b = {a:'apple', b:'banana', list:[1, 2, 3]}
      print(dict_b)       # {'a':'apple', 'b':'banana', 'list':[1, 2, 3]}
profile
💎 Daniel LEE | SSAFY 8th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