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프 투 파이썬] Chapter 01 : 파이썬 프로그래밍의 기초, 자료형-1

iGhost·2021년 8월 10일
0

점프 투 파이썬

목록 보기
2/8
post-thumbnail

🤔 자료형이란?

프로그래밍을 할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것을 말한다


숫자형

숫자형태로 일어진 자료형

항목

정수형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

>>> a = 123
>>> a = -173

실수형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 a = 1.2 #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소수
>>> a = 4.24e-10 #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

8진수와 16진수

  • 8진수 = 0o or 0O
  • 16진수 =Ox로 시작

숫자형에서 쓰이는 연산자

  • 사칙연산
  • % : 나눗셈후 나머지
  • // : 나눗셈후 몫
  • x의y제곱 = x**y

문자열 자료형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

문자열 생성 방법

  • 큰따음표 : ""
  • 작은 따음표 : ''
  • 큰따옴표 3개 연속 : """ ~ """
  • 작은따옴표 3개 연속 : '''~'''

작은 따음표, 큰따음표 같이 쓰고 싶을때

i'm fine을 작은 따옴표로 표현하게 된다면 'i'm fine'이 되어버려 ⇒ i만 문자열로 인식하고 그 뒤는 에러로 인식

이럴땐

  • 큰따음표 안에 작은 따음표 = "i'm fine"
  • 작은따음표 안에 큰따음표 = '"hey" and "Hi"'
  • 백슬래쉬()로 구분하기 = "\"sorry!\"" ⇒ \뒤에 있는 'or"를 해석하지 않고 그냥 문자로 쓰임

여러 줄인 문자열을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때

인터프리터는 중간에 우리가 줄을 나눠도 줄을 나누었다 생각하지 않는다

아버지가
방에들어가셨다
= 아버지가방에들어가셨다
  • 이스케이프 코드 \n
  • 연속된 따음표 """ or ''' 사용 ⇒ 중간에 줄바꿈을 해석함

문자열 연산하기

파이썬은 문자열도 더하거나 곱할수 있다

>>>A = 너네는
>>>B = 이런거
>>>C = 못하지
>>>D = ㅋㅋㅋ

>>>D+A+C+D
ㅋㅋㅋ너네는못하지이런거

>>>D*3
ㅋㅋㅋㅋㅋㅋㅋㅋㅋ
  • 문자열을 더할때 ⇒ 합쳐서 나온다
  • 문자열을 곱할때 ⇒ 해당 숫자만큼 반복한다
  • 문자열 길이 구하기 ⇒ len(a)

문자열 인덱싱과 슬라이싱

  • 인덱싱 : 무엇인가, 가르킨다
  • 슬라이싱 : 잘라낸다

🤔 문자열 인덱싱이란?

문자열에 가르키는 번호가 부여된것

>>> a = "ABCD"
를 보면 a[0]=A a[1]=B a[2]=C a[3]=D 이다.

번호는 0부터 시작한다

헷갈리면 안되는게

ABCD에서 마지막 D는 a[3]이지만 a의 길이는 4 이다.

문자열 인덱싱 활용하기

>>> a = "ABCD"
>>> a[0] #1번째 문자
'A'
>>> a[-0] # 0과 같다
'A'
>>> a[-1] # 뒤에서 첫번째 문자
'D'

🤔 문자열 슬라이싱이란?

문자열을 잘라내는것

a[이상:미만:간격]으로 나타낼수 있다

# 기존 방법
>>> a = "너 좋아해"
>>> b = "나도 좋아해, 응? 나도 날 좋아한다고"
>>>b[0]+b[1]+b[2]+b[3]+b[4]+b[5]
'나도 좋아해'

# 문자열 슬라이싱 기법
>>> b[0:5] # 0에서 5까지 뽑아냅
'나도 좋아해'
>>> b[::3]
'나좋,?도 한'

🤔 문자열 포맷팅이란?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바꿔야 할 경우

이게 될까?
>>> a = 'ABCD'
>>> a[3] = F
안됨
a는 여전히 ABCD로 나온다 문자열은 요소값을 바꿀수 없기 때문

1. 숫자 바로 대입

>>> "I eat %d apples." %3
'I eat 3 apples' 

2. 문자열 바로 대입

>>> "I eat %s apples" %"five"
'I eat five apples'

3. 숫자 값을 나타내는 변수로 대입

>>> nubmber = 3
>>> "I eat %d apples" % number
'i eat 3 apples'

4. 2개 이상의 값 넣기

>>> nubmber = 3
>>> A = ", good!"
>>> "I eat %d apples %s" % (number, A)
'i eat 3 apples, good!'

이렇게 콤마로 나누어 주면된다.

5. 포맷 함수를 이용하기(다시 올려주기)

>>> nubmber = 3
>>> A = ", good!"
>>> "I eat %내맘 apples %대로".format (내맘=number, 대로=A) #변수 이름으로 넣기
>>> "I eat %0 apples %1".format (umber,A) # 인덱스로 넣기
'i eat 3 apples, good!'

🤔 리스트란?

숫자 모음을 숫자나 문자열로 표현하기 위한것

odd = [1,2,3,4,6,] 이렇게 리스트명 = [요소1,요소2,요소3..] 으로 설정하면된다

리스트 수정하기

리스트는 문자열과 달리 원하는 요소값을 수정할수있다.

>>> a = ['A','B','C','D']
>>> a[0] = K
>>> a
a = [K,B,C,D]

리스트 삭제하기

del 함수를 사용해 리스트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 a = [1,2,3]
>>> del a[1]
>>> a
[1,3]

슬라이싱 이용해서 수정, 삭제

>>> a = [1,2,3,4,5]
>>> a[:2] = ['A']
>>> a
a = [A,3,4,5]
>>> del a[:2]
>>> a
a[4,5]
profile
인터벌로 가득찬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