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을 할때 쓰이는 숫자, 문자열등 자료 형태로 사용하는 모든것을 말한다
숫자형태로 일어진 자료형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
>>> a = 123
>>> a = -173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
>>> a = 1.2 #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소수
>>> a = 4.24e-10 #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
i'm fine을 작은 따옴표로 표현하게 된다면 'i'm fine'이 되어버려 ⇒ i만 문자열로 인식하고 그 뒤는 에러로 인식
이럴땐
인터프리터는 중간에 우리가 줄을 나눠도 줄을 나누었다 생각하지 않는다
아버지가
방에들어가셨다
= 아버지가방에들어가셨다
파이썬은 문자열도 더하거나 곱할수 있다
>>>A = 너네는
>>>B = 이런거
>>>C = 못하지
>>>D = ㅋㅋㅋ
>>>D+A+C+D
ㅋㅋㅋ너네는못하지이런거
>>>D*3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문자열에 가르키는 번호가 부여된것
>>> a = "ABCD"
를 보면 a[0]=A a[1]=B a[2]=C a[3]=D 이다.
번호는 0부터 시작한다
헷갈리면 안되는게
ABCD에서 마지막 D는 a[3]이지만 a의 길이는 4 이다.
>>> a = "ABCD"
>>> a[0] #1번째 문자
'A'
>>> a[-0] # 0과 같다
'A'
>>> a[-1] # 뒤에서 첫번째 문자
'D'
문자열을 잘라내는것
a[이상:미만:간격]
으로 나타낼수 있다
# 기존 방법
>>> a = "너 좋아해"
>>> b = "나도 좋아해, 응? 나도 날 좋아한다고"
>>>b[0]+b[1]+b[2]+b[3]+b[4]+b[5]
'나도 좋아해'
# 문자열 슬라이싱 기법
>>> b[0:5] # 0에서 5까지 뽑아냅
'나도 좋아해'
>>> b[::3]
'나좋,?도 한'
문자열 안의 특정한 값을 바꿔야 할 경우
이게 될까?
>>> a = 'ABCD'
>>> a[3] = F
안됨
a는 여전히 ABCD로 나온다 문자열은 요소값을 바꿀수 없기 때문
>>> "I eat %d apples." %3
'I eat 3 apples'
>>> "I eat %s apples" %"five"
'I eat five apples'
>>> nubmber = 3
>>> "I eat %d apples" % number
'i eat 3 apples'
>>> nubmber = 3
>>> A = ", good!"
>>> "I eat %d apples %s" % (number, A)
'i eat 3 apples, good!'
이렇게 콤마로 나누어 주면된다.
>>> nubmber = 3
>>> A = ", good!"
>>> "I eat %내맘 apples %대로".format (내맘=number, 대로=A) #변수 이름으로 넣기
>>> "I eat %0 apples %1".format (umber,A) # 인덱스로 넣기
'i eat 3 apples, good!'
숫자 모음을 숫자나 문자열로 표현하기 위한것
odd = [1,2,3,4,6,]
이렇게 리스트명 = [요소1,요소2,요소3..]
으로 설정하면된다
리스트는 문자열과 달리 원하는 요소값을 수정할수있다.
>>> a = ['A','B','C','D']
>>> a[0] = K
>>> a
a = [K,B,C,D]
del 함수를 사용해 리스트 요소를 삭제할 수 있다
>>> a = [1,2,3]
>>> del a[1]
>>> a
[1,3]
>>> a = [1,2,3,4,5]
>>> a[:2] = ['A']
>>> a
a = [A,3,4,5]
>>> del a[:2]
>>> a
a[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