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의 뜻은 list의 줄임말로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디렉토리,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명령어다.
ls [디렉토리]
ex) ls / : root에 있는 파일 목록 출력
ex) ls /project : /project 경로의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목록 출력
-l
: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숨김파일도 포함)
-R
: 위치한 디렉토리 하부 디렉토리의 파일까지 모두 출력한다.
-h
: 파일크기를 해석파기 편하게 출력한다.
-r
: 출력 결과를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
-t
: 출력 결과를 파일이 수정된 시간을 기준으로 정렬한다.
💡 옵션을 한번에 여러개 줄수도 있다.
ex) : ls -al : 숨김파일을 포함하여 목록 자세히 출력
ex) : ls -alRr : 하위 디렉토리까지 숨김파일을 포함한 목록을 자세히 역순으로 출력
-A
: .와 ..을 제외하고 목록을 출력한다.
-b
: 알파벳 순으로 목록을 출력한다.
-B
: ~로 끝나는 백업파일을 제외하고 목록을 출력한다.
-c
: 마지막으로 변경된 시간을 목록을 출력한다.
-C
: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열로 목록을 출력한다.
-d
: 지정 경로에 있는 최상위 디렉토리의 목록만 출력한다.
-D
: emacs를 위한 출력행태를 생성한다.
-f
: 정렬하지 않고 출력한다. 컬러을 해제한다.
-F
: 실행파일은 *, 경로 /, 소켓=, 링크 @ 등의 지시자로 출력한다.
-g
: 사용자 권한을 출력하지 않는다.
-G
: -l 과 같이 사용시 그룹권한을 출력하지 않는다.
-h
: K, M, G 단위를 사용하여 파일 크기를 사람이 보기 좋게 표시한다.
-H
: 심볼릭 링크의 실제 참조하는 목록을 출력한다.
-i
: 파일의 인덱스 값을 출력한다.
-I (대문자 i)
: 지정 파티션을 제외하고 출력한다.
-k
: 용량을 킬로바이트로 출력한다.
-l
: 자세한 내용을 출력한다. 내용 > 권한, 파일 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수정일자, 파일이름
-lu
: mtime (수정 시간)을 atime(접근 시간)을 출력한다. (default는 수정 시간)
-lc
: mtime (수정 시간)을 ctime(변경 시간)을 출력한다. (default는 수정 시간)
-L
: 심볼릭 링크의 정보를 출력할때 원본 파일의 정보를 출력한다.
-m
: 콤마로 구분하여 출력한다.
-n
: 사용자와 그룹권한을 숫자로 표시한다.
-i
: 그룹권한을 출력하지 않는다.
-p
: 디렉토리에 /를 추가한다.
-q
: 그래픽이 아닌 문자 대신에 ?를 출력한다.
-Q
: 파일, 디렉토리를 쌍따옴표 안에 출력한다.
-r
: 반대로 출력한다. (default는 알파벳 순서)
-R
: 하위 디렉토리까지 출력한다.
-s
: 블록에 할당된 크기를 출력한다.
-S
: 파일 크기 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한다.
-t
: 파일이 수정된 시간 기준으로 정렬하여 출력한다.
-T
: 8대신 COLS을 지정하여 출력한다.
-u
: -lt와 같이 사용시 생성 시간 기준으로 출력하고 -l과 사용시 생성시간 출력이름순으로 출력한다.
-U
: 컬러을 유지하면서 정렬하지 않고 출력한다.
-w
: width 길이를 설정하여 출력한다.
-x
: 상세출력되는 리스트를 파일이름으로 하나의 라인에 출력한다.
-X
: 확장자의 알파벳순으로 정렬하여 출력한다.
-Z
: SELinux 보안 모듈을 출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