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1005

임기철·2024년 10월 7일
0

TIL

목록 보기
34/46

회고록

챌린지반에서 간단 기술면접을 했는데 이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 const: 상수로 관리되며 재할당이 불가능하다 let: 재할당이 가능하다 var: 위치가 어디에 있든 재할당이 가능하며 스코프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클로저는 함수가 생성될 당시의 외부 변수 및 상태를 기억하고 이를 함수 호출 시에도 계속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dfs문제

  3. 동기는 작업이 순서대로 실행되며 비동기는 작업이 병렬로 이루어지며 이벤트 루프는 콜 스택을 관찰하고 있다가 비어 있으면 대기 중인 작업을 실행한다

  4. 어플리케이션을 배포할때 js코드를 묶어서 번들하며 트리쉐이킹을 통해 빠르그ㅔ 개발 서버를 시작할 수 있다

  5. cjs는 node 환경에서 사용되는 모듈 시스템이며 esm은 브라우저와 node환경 둘 다 사용이 가능한 모듈 시스템이다 차이점은 cjs는 파일을 다 찾으며 ESM은 확장자를 명확하게 적어서 해당 파일만 찾는다.

  6. 리액트는 내부적으로 훅을 배열로 관리하고 있으며 최상단 위치해야 한다 이유는 조건부로 실행된다면 훅을 순서가 변경되고 순서가 있기 때문이다

  7. useContext는 자식 컴포넌트가 전부 리렌더링이 일어나며 zustand는 전역상태관리로 컴포넌트 구조에서 떨어진 store를 두고 특정 값이 바뀌었을때 해당 컴포넌트만 리렌더링을 한다

  8. 타입스크립트는 타입을 지정하여 어떤 값이 들어오는지 파악 할 수 있으며 컴파일 단계를 거쳐 노드에서 실행되지 않고 자바스크립트에서 컴파일을 해야 추가적인 빌드가 필요하기 때문에 런타임 안정석이 부족하다

  9. 타입추론은 타입을 적지 않아도 타입을 추론해주며 타입 어노테이션은 타입을 직접 개발자가 명시한 것이다

이번에 기술면접을 다 같이 하면서 지금까지 배웠던 내용들을 다시 상기시키는게 너무 좋았고 애매하게 기억하고 있던 부분들도 명확하게 알게 되어서 좋았던 시간이였던거 같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